r1 vs r2 | ||
---|---|---|
1 | ||
1 | 출처: [[https://namu.wiki/w/A%20Dance%20of%20Fire%20and%20Ice]] |
|
2 | ||
3 | ##@[include(틀:토론 합의, 합의사항1=아도파이와 어도파이 리다이렉트를 삭제하기,토론주소1=RuralWoebegoneCondemnedTrucks)] |
|
4 | [[분류:A Dance of Fire and Ice]] |
|
5 | [include(틀:7th Beat Games 출시 게임)] |
|
6 | [include(틀:A Dance of Fire and Ice)] |
|
7 | ||<-2><table align=right><table width=500><table bordercolor=#2b2840,#2b2840><bgcolor=#2b2840,#2b2840><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 '''{{{+1 [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ef5536, 글자=ef5536, 내용=불)][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fff, 글자=fff, 내용=과)] [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4e8bd6, 글자=4e8bd6, 내용=얼음)][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fff, 글자=fff, 내용=의 춤)]}}}'''[br][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fff, 글자=fff, 내용=A Dance of)] [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ef5536, 글자=ef5536, 내용=Fire)] [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fff, 글자=fff, 내용=and)] [include(틀:글무리, 둘레=6, 그림자=4e8bd6, 글자=4e8bd6, 내용=Ice)] || |
|
8 | ||<-2><bgcolor=#ffffff,#2d2f34><nopad> [[파일:A Dance of Fire and Ice.png|width=100%]] || |
|
9 | ||<width=120><colbgcolor=#2b2840,#2b2840><colcolor=#ffffff,#ffffff> '''개발''' ||[[7th Beat Games]] || |
|
10 | || '''유통''' ||Indienova || |
|
11 | || '''플랫폼''' ||[[Microsoft Windows|Windows]] | [[macOS]] | [[Android]] | [[iOS]] | Steam Deck[* Verified] | [[Nintendo Switch]] || |
|
12 | || '''ESD''' ||[[Steam]] | [[itch.io]] | [[Google Play]] | [[App Store]] || |
|
13 | || '''장르''' ||[[리듬 게임]] || |
|
14 | || '''출시''' ||'''데모'''[br][[세계|[[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14년]] [[10월 4일]][br]'''정식 출시'''[br][[세계|[[파일:세계 지도.svg|width=20]]]] [[2019년]] [[1월 25일]][br]'''Nintendo Switch'''[br][[2025년]]|| |
|
15 | || '''엔진''' ||[[유니티(게임 엔진)|Unity]] || |
|
16 | || '''한국어 지원''' ||지원[* 번역자: 'auth'. ADOFAI 한국어 PR 및 문의를 담당하고 있는 운영진이다. 따로 코딩 작업을 하지는 않는다고 밝혔으므로 제작진은 아닌 듯 하다. 공식 디스코드 에서도 번역을 해주고 여러 번역 프로젝트에서 간간이 보이는 걸로 보아 번역 봉사 등의 일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
|
17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 이용가}}}''']] || |
|
18 | || '''해외 등급''' ||'''[[Google Play|{{{#000000,#dddddd Google E}}}]]'''[br]'''[[App Store|{{{#000000,#dddddd Apple 4+}}}]]''' || |
|
19 | || '''상점 페이지''' ||[[https://store.steampowered.com/app/977950/A_Dance_of_Fire_and_Ice/|[[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5]]]] | [[https://fizzd.itch.io/a-dance-of-fire-and-ice|[[파일:itch.io 아이콘.svg|width=25]]]][* 이 사이트에서 상단의 Run game을 클릭하면 데모 버전도 플레이할 수 있다. Download Now를 눌러 구매하려 하면 itch.io 버전을 구매할 수 있다. 스팀 버전에 비해 약 2천 원 정도 가격이 낮은데, 창작마당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 외에도 스팀 도전과제로 진행 상황 복원, CLS 등 스팀 버전의 기능이 없다. 그러니 제대로 즐기려면 스팀에서 구매하는 것을 추천한다.] | [[https://play.google.com/store/apps/details?id=com.fizzd.connectedworlds|[[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width=25]]]] | [[https://apps.apple.com/us/app/a-dance-of-fire-and-ice/id1456547302?ls=1|[[파일:App Store 아이콘.svg|width=25]]]] || |
|
20 | ||
21 | [목차] |
|
22 | [clearfix] |
|
23 | == 개요 == |
|
24 | ||<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2b2840,#2b2840><bgcolor=#ffffff,#2d2f34><nopad> [youtube(Bqj-tnv5K2c)] || |
|
25 | ||<rowbgcolor=#2b2840,#2b2840> '''{{{#ffffff,#ffffff 출시 트레일러}}}''' || |
|
26 | ||<rowbgcolor=#2b2840,#2b2840><nopad> [youtube(q8aPiItv2kU)] || |
|
27 | ||<rowbgcolor=#2b2840,#2b2840> '''{{{#ffffff,#ffffff Indie World 트레일러}}}''' || |
|
28 | [[말레이시아]]에 소재한 게임 회사인 [[7th Beat Games]]에서 개발한 원터치 [[리듬 게임]]. |
|
29 | ||
30 | 한국 유저들 사이에서는 제목이 너무 길어서 주로 '얼불춤'으로 불린다. 순서가 불과 얼음임에도 얼불춤인 이유는 얼불노 때문도 있지만 출시 초기에는 많은 유저들이 풀네임 순서 그대로 '불얼춤'이라고 줄여 불렀었으나 [[고환|어감이 좀 그렇다는 문제로(...)]] 얼불춤으로 불리게 되었다. 해외에서는 약칭인 ADOFAI[* '''A''' '''D'''ance '''O'''f '''F'''ire '''A'''nd '''I'''ce.]로 부른다. |
|
31 | ||
32 | 48시간 내로 게임을 만드는 대회인 [[https://ldjam.com|Ludum dare]] 30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게임으로, 개발사의 또 다른 게임인 [[Rhythm Doctor]]처럼 사이트에서 데모 버전을 공개한 후 4년 만에 스팀에서 정식버전으로 출시되었다. 가격은 스팀버전 6,500원[* 2020년 3월 10일에 4,400원에서 6,500원으로 올랐다. 스테이지가 늘어남에 따라 점점 가격도 오르는 추세이다.], itch.io버전 3.99달러(약 4600원)[* 창작마당, 스팀 도전과제로 진행 상황 복원, CLS 등 스팀버전의 기능이 없어서 스팀버전보다 싸다.], 모바일은 [[구글]] [[Google Play|플레이 스토어]] 기준으로 2,200원, [[Apple|애플]] [[App Store|앱스토어]] 기준으로 3,300원 이다. |
|
33 | ||
34 | 게임명은 유명한 소설 시리즈인 [[얼음과 불의 노래]]를 모티브로 한 듯하다. |
|
35 | ||
36 | 이후 [[Nintendo Switch]] 이식이 확정되었다. 스팀 버전의 Neo Cosmos DLC의 레벨과 추천 레벨을 포함한 모든 레벨이 포함 될 예정. 출시는 원래 2024년 가을에 예정되어 있었으나, 2025년으로 연기되었다. |
|
37 | ||
38 | == 시스템 요구 사항 == |
|
39 | ||<-2><tablealign=center><bgcolor=black><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aaa,#333> {{{#white '''시스템 요구 최소 사양'''}}} || |
|
40 | || {{{#000000,#fff '''운영체제'''}}} ||<bgcolor=white,black> [[Microsoft Windows|Windows(XP, Vista, 7, 8, 10)]], [[macOS|macOS(10.11 이상)]] || |
|
41 | || {{{#000000,#fff '''그래픽 카드'''}}} ||<bgcolor=white,black> Intel Graphics 4000 || |
|
42 | || {{{#000000,#fff '''램'''}}} ||<bgcolor=white,black> 2GB || |
|
43 | || {{{#000000,#fff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bgcolor=white,black> 1GB || |
|
44 | ||
45 | 이 게임은 현재까지 그래픽 관련 옵션이라고 할 만한 게 해상도와 수직 동기화 정도가 전부지만, [[녹화]] 또는 타일이나 이벤트 수가 많은 커스텀 레벨을 플레이할 경우 더 높은 사양이 필요하다.[* 업데이트에 [[안티에일리어싱#s-12|FXAA]] [[안티에일리어싱|안티 에일리어싱]] 기능이 추가되었지만 FXAA 방식의 AA는 GPU에 큰 부하를 주지 않는다.] --극단적인 예시이긴 하지만 [[https://youtu.be/exDy0P8qIgQ|이런 레벨들]][* 이게 얼마나 랙이 걸리는가 하면 이 영상을 찍을 때 10피치, 즉 0.1배속으로 녹화 후 편집으로 다시 10배속을 해서 올렸다고 한다.]이 있기 때문이다.-- |
|
46 | ||
47 | 또한 모바일 기준으로는 안드로이드 4.1(젤리빈) 이상의 버전이 필요하다. 그래픽 설정, 해상도 조절 등 옵션을 낮추는 기능 덕에 [[갤럭시 S2]]에서도 돌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단 어떤 이유로 iOS에서는 iOS 10 이상이 필요하지만, [[아이폰 5]]와 [[아이폰 5c|5c]]는 설치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람들 사이에서 사양이 구라라는 말이 있다. |
|
48 | ||
49 | == 데모 버전 == |
|
50 | [[https://fizzd.itch.io/a-dance-of-fire-and-ice|데모 버전 플레이하기]][* 상단의 Run Game을 누르면 플레이할 수 있다. 해당 페이지에서는 [[itch.io]] 버전 구매도 할 수 있다.][* 모바일로 접속하면 화면이 잘려 보일 수 있다.] |
|
51 | ||
52 | === 출시 버전과의 차이 === |
|
53 | 출시 버전을 중심으로 서술한다. |
|
54 | * 다양한 색채와 환상적인 풍경 속에서 각 장르의 음악을 즐길 수 있도록 게임 디자인이 전체적으로 바뀌었다. |
|
55 | * 기존의 직각으로만 구성돼있던 트랙에 새로운 유형의 각도를 구성하여 트레실로(tresillo, 135도+135도+90도 박자로 구성됨), 셋잇단 등 여러 가지 리듬을 구사할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더욱 다양한 리듬으로 플레이가 가능해졌다. |
|
56 | ||
57 | * 마크의 모양과 기능이 변경되었다. 데모 버전에서는 속도를 변경하는 마크가 삼각형 모양이었으나, 정식 버전에서는 달팽이, 토끼 마크에 따라 속도가 변경된다. 또한 데모 버전에서는 소용돌이 마크가 '''트랙을 회전'''시켰으나, 정식 버전에서는 '''행성이 반대로 회전'''하도록 변경되었다. |
|
58 | ||
59 | * 3번째 세계인 WIND UP의 경우 앞 부분 음악 몇 초가량을 삭제하고 튜토리얼을 하나 더 추가하였다. 아무래도 현재 트랙만으로도 튜토리얼 실전행에 충분하다고 느껴 불필요한 앞 직선 구간을 자르거나 보충 구간때문에 더한 듯하다. |
|
60 | ||
61 | * 각 세계의 배속을 높여 플레이할 수 있는 도전 과제가 생겼다. 기본적으로 1.5배가 '목표 배속'이지만 Esc-빠르게를 클릭하여 더 높은 배속으로 올릴 수 있다.[* 데모 버전에서는 마지막 세계였던 3-X WIND UP을 깼을 경우 1.1부터 2배속까지 계속 플레이할 수 있었다.] |
|
62 | ||
63 | * 기존의 3개이던 세계가 35개[* 기본 12개 + 보너스 1개 + 엑스트라 10개 + 뮤즈대시 콜라보 레벨 3개 + Neo cosmos DLC (공식맵 5개,EX버전 4개)]가 되었다. 제작진의 말에 따르면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세계와 새로운 리듬을 꾸준히 추가 패치할 것이라고 밝혔다. |
|
64 | >'''Play new levels for free: The full version contains more than 15 worlds. Tackle new songs and new rhythms as we expand the game with free level patches over the coming months.''' |
|
65 | >---- |
|
66 | >새로운 난이도를 제한 없이 즐겨요 - 정식 버전에서는 15개 이상의 세계가 마련되어 있습니다. 앞으로 몇 개월 동안의 무료 패치를 통해 게임이 확장됨에 따라 새로운 노래와 리듬을 즐겨보세요. |
|
67 | >[[https://fizzd.itch.io/a-dance-of-fire-and-ice|공식 홈페이지 게임 안내 내용 중]] |
|
68 | ||
69 | * 2020년 3월 업데이트로 행성 색상 변경 기능이 추가되었다. 다양한 색깔부터 보너스 스테이지 클리어 후 얻을 수 있는 황금 공까지 다 있다.[* 각각의 스테이지를 클리어했을 때 주어지는 공의 색깔이 있다.] 원래는 황금공을 얻으면 게임을 리셋하지 않는이상 색상을 변경할 수 없었다. 당연히 두 행성의 색을 같게도, 다르게도 할 수 있다.[* 여러 코드로도 색을 바꿀 수 있다. ex){{{#ad0fa1 #ad0fa1}}}. 투명공도 가능하다(!).(RRGGBB00)] |
|
70 | ||
71 | == 게임 플레이 == |
|
72 | ||
73 | === 조작법 === |
|
74 | ||<tablewidth=480><table bordercolor=#2b2840><tablealign=center><nopad> [[파일:adofai_straightline.gif|width=100%]] || |
|
75 | ||<bgcolor=#2b2840> {{{#white '''게임 내 이동 방식'''}}} || |
|
76 | > A Dance of Fire and Ice is a strict rhythm game. |
|
77 | > Keep your focus as you guide two orbiting planets along a winding path without breaking their perfect equilibrium. |
|
78 | > |
|
79 | > A Dance of Fire and Ice는 하나의 키로 간단하게 즐길 수 있는 '''엄격한 판정'''의 리듬 게임입니다. |
|
80 | > 서로 공전하는 두 행성의 완벽한 균형을 깨지 않도록 집중하세요. |
|
81 | >---- |
|
82 | > 스팀의 게임 소개 |
|
83 | '''{{{#ff0000 불의 행성}}}'''과 '''{{{#0000ff 얼음의 행성}}}'''이 번갈아가면서 상대방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이동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틀리지 않고 마지막 하얀 원이 있는 타일까지 이동하면 클리어. 행성이 직사각형 모양의 타일에 들어갈 타이밍에 맞춰 [[아무 키]][* 마우스 클릭, 심지어 '''[[게임패드]]'''로도 가능하다. 단 LT, RT 또는 L1R1키 같은 아날로그 입력은 먹히지 않는다, 또, Tab, Alt같은 기능성키 몇 개도 먹히지 않는다.( 설정에서 비동기 입력을 키면 먹히게 만들 수 있다. ) 그러므로 본인이 누르기 편한 방법을 골라서 플레이하자. 조이투키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타타콘으로도 가능하다!]나 눌러서 한 칸씩 진행하며, 그 타이밍은 배경 음악에 어울리도록 구성되어있다. 보통 한 바퀴 회전에 두 박자가 진행되기에 180도 회전 시 한박자, 90도 회전 시 반박자 등으로 감을 잡고 플레이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정박 위주의 구성이지만 챕터가 올라갈수록 엇박, 트레실로, [[폴리리듬]], [[셋잇단]], [[스윙(음악)|스윙리듬]] 등의 괴악한 박자들이 등장하여 플레이가 점점 복잡해진다. 판정은 후하다면 후한 편이지만 쉬지 않고 바로바로 진행해야 하며, 체크포인트가 없다면 한 번이라도 놓칠 경우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하므로 상당한 집중력과 진입장벽을 요구한다. 이는 1.6.0 업데이트 이후 체크포인트 기능이 추가되면서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
|
84 | ||
85 | === [[/세계|세계]] === |
|
86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세계)] |
|
87 | 현재 공식적인 세계는 총 26개(Neo Cosmos DLC가 있으면 35개)로 제작진의 말에 따르면 앞으로도 계속 추가될 예정이라고 한다. |
|
88 | ||
89 | ==== [[/추천 레벨|추천 레벨]] ==== |
|
9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추천 레벨)] |
|
91 | 개발진이 엄선한 커스텀 레벨들을 계약을 통해 공식 레벨로 출시하는 제도. 스팀 버전의 커스텀 레벨 메뉴에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비정기적으로 추가되고 있다. |
|
92 | ||
93 | ==== 사운드트랙 ==== |
|
94 | ||<-2><tablewidth=400><table bordercolor=#2b2840><colbgcolor=#2b2840><colcolor=#fff> '''{{{+1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 Dance of}}}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ef5536; color:#ef5536">Fire}}}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nd}}}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4e8bd6; color:#4e8bd6">Ice}}}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OST}}}[* Steam에서 이 앨범을 구매할 시 이스터에그가 있다. 다운로드하고 'Steam 설치경로→steamapps→music→A Dance of Fire and Ice - OST'안의 txt파일]}}}''' || |
|
95 | ||<-2><nopad> [[파일:ADOFAI OST.jpg|width=100%]] || |
|
96 | ||<width=25%> '''발매일''' ||2019년 2월 7일 || |
|
97 | || '''가격''' ||3,300 [[대한민국 원]][*S Steam 기준.] || |
|
98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
99 |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
|
100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01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2b2840><rowcolor=#fff> 넘버[* Steam 기준] || 제목 || 작곡가 || 비고 || |
|
102 | ||<colbgcolor=#2b2840><colcolor=#fff> 01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A Dance of Fire and Ice(음악)|A Dance of Fire and Ice]]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fizzd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 |
|
103 | || 02 || [[Offbeats]] || fizzd || || |
|
104 | || 03 || [[The Wind-Up]] || fizzd || || |
|
105 | || 04 || [[Love Letters(Jade Kim)|Love Letters]] || Jade Kim || || |
|
106 | || 05 || [[The Midnight Train]] || fizzd & Jade Kim || || |
|
107 | || 06 || [[PULSE(A Dance of Fire and Ice)|PULSE]] || fizzd & Jade Kim || || |
|
108 | || 07 || [[Thanks For Playing My Game]] || fizzd || || |
|
109 | || 08 || Spin 2 Win || Cadence Hira || || |
|
110 | || 09 || [[Jungle City]] || fizzd & Jade Kim || || |
|
111 | || 10 || [[Butterfly Planet]] || [[Riya(작곡가)|Riya]] || || |
|
112 | || 11 || [[Artificial Chariot]] || [[Riya(작곡가)|Riya]] || || |
|
113 | || 12 || [[Third Wave Flip-Flop]] || Gus La Flibuste || || |
|
114 | || 13 || One Forgotten Night || [[Quree]] || || |
|
115 | || 14 || [[A Dance of Fire and Ice(음악)#A Dance of Fire and Ice [Rabbit Ver.]|A Dance of Fire and Ice [Rabbit Ver.] ]] || fizzd & s9menine || [* 메인 화면에서 토끼를 밟으면 행성 속도가 빨라지며 재생되는 브금.] || |
|
116 | || 15 || [[A Dance of Fire and Ice(음악)#A Dance of Fire and Ice [Spooky Ver.]|A Dance of Fire and Ice [Spooky Ver.] ]] || fizzd & s9menine || [* 할로윈 시즌에 변경되는 1-X 브금.] || |
|
117 | || 16 || [[It Go]] || answearingmachine || || |
|
118 | || 17 || [[LORELEI]] || [[かめりあ]] || [* [[ADOFAI World Cup 2023]] 파이널 타이브레이커. 오리지널 게임에선 추천 레벨에 등장한다.] || |
|
119 | }}}}}}}}} || |
|
120 | || '''앨범 링크''' ||[[https://store.steampowered.com/app/1027880/A_Dance_of_Fire_and_Ice__Official_Soundtrack/|[[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0]]]] [[https://7thbeat.bandcamp.com/album/a-dance-of-fire-and-ice-ost|[[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V0Pc5bQC6LqzhIzOhbBUxzgUx19-Sz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121 | ||
122 | ||<-2><tablewidth=400><table bordercolor=#2b2840><colbgcolor=#6D599A><colcolor=#fff> '''{{{-1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 Dance of}}}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ef5536; color:#ef5536">Fire}}}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nd}}}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4e8bd6; color:#4e8bd6">Ice}}}}}}[br]{{{+1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C5655; color:#D83E08">Neo}}}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62DBFA; color:#1386CA">Cosmos}}}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OST}}}}}}''' || |
|
123 | ||<-2><nopad> [[파일:Neo Cosmos OST.jpg|width=100%]] || |
|
124 | ||<width=25%> '''발매일''' ||2022년 6월 14일 || |
|
125 | || '''가격''' ||3,300 [[대한민국 원]][*S] || |
|
126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
127 | {{{#!folding [ 수록곡 펼치기 • 접기 ] |
|
128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129 | ||<tablewidth=100%><width=25%><rowbgcolor=#6D599A><rowcolor=#fff> 넘버[* Steam 기준] || 제목 || 작곡가 || 비고 || |
|
130 | ||<colbgcolor=#6D599A><colcolor=#fff> 01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NEW LIFE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Canblaster 2K6 ||<colbgcolor=#F5F5F5,#2e2f34><colcolor=#000000,#fff> || |
|
131 | || 02 || [[sing sing red indigo]] || [[Frums]] || || |
|
132 | || 03 || [[No Hints Here!]] || [[DM DOKURO]] || || |
|
133 | || 04 || [[Third Sun]] || [[Ash Astral]] || || |
|
134 | || 05 || [[Divine Intervention(DM DOKURO)|Divine Intervention]] || [[DM DOKURO]] || || |
|
135 | || 06 || [[No Hints Here!]] (Standalone) || [[DM DOKURO]] || [* No Hints Here!에서 미니게임 부분 음악을 잘라낸 곡. 게임에선 등장하지 않는다.] || |
|
136 | || 07 || [[No Hints Here!]] (EX) || [[DM DOKURO]] || || |
|
137 | || 08 || [[Third Sun]] (EX) || [[Ash Astral]] || || |
|
138 | }}}}}}}}} || |
|
139 | || '''앨범 링크''' ||[[https://store.steampowered.com/app/2016420/A_Dance_of_Fire_and_Ice__Neo_Cosmos_OST/|[[파일:스팀 아이콘.svg|width=20]]]] [[https://7thbeat.bandcamp.com/album/a-dance-of-fire-and-ice-neo-cosmos-ost|[[파일:Bandcamp 아이콘.svg|width=20]]]] [[https://youtube.com/playlist?list=PLoV0Pc5bQC6LhGsbNaCGvHzuUP1TFeI1S|[[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
|
140 | ||
141 | === 보정 === |
|
142 | >기기 보정을 시작합니다. 키를 눌러 시작하세요! |
|
143 | 모바일 버전은 접속하면 뜨는 필수적인 절차지만 PC버전은 시작할 때 알아서 보정 화면이 뜨지 않아, 스스로 보정을 진행해야 한다. 얼음 행성이 화면 가운데에 가만히 있다가 키를 누를 때 불의 행성이 나타나 그 주변을 돈다.[* PC버전은 모바일 버전보다 회전 속도가 2배가량 빠르다.] 이 때부터 일정 시간동안 음악이 흘러나오는데, 이 음악에서 나오는 드럼 소리에 맞춰 [[아무 키]]나 입력하면 된다. 1회전당 2박자가 들리는데 한 바퀴당 입력하든 반 바퀴당 입력하든 상관은 없다. |
|
144 | 소리만 들으면서 박자를 손으로 입력하는 것이며, 선이 기울어지는 것이 정상이므로 선의 기울기에는 신경쓰지 말자. |
|
145 | ||
146 | 보정 등급은 음악이 끝날 때까지 입력한 박자점간의 거리에 따라 결정된다. 그러나 너무 입력을 하지 않거나 난잡하게 연타를 하면 '''부끄러워하지 마시고요! 다시 시도해보세요.''' 라는 자막이 등장하고, 박자가 너무 어긋나버리면 '''입력에 일관성이 없습니다'''라고 하면서 재시작한다. 하지만 3번 이상 일관성이 없다는 결과가 나오면, 게임에서 '''기본 설정으로 시작하죠...''' 라고 하면서 기본 보정으로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
|
147 | ||
148 | 심지어는 이어폰을 끼고 보정 할 때는, 이어폰을 보정해준다. 그러나 휴대전화로 플레이할 때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한다면 보정을 쓰지 말고 스스로 맞추는 걸 추천한다. |
|
149 | ||
150 | PC버전의 경우도 업데이트로 헤드셋이나 이어폰을 보정한다. |
|
151 | ||
152 | 보정 등급은 S부터 D까지 존재하며, 특이하게도 등급에 따라 평가 대사가 다르다. 다만 등급이 높다고 게임 내에서 큰 차이가 있는 건 아니고 자신의 박자 감각이 이 정도라는 것을 알려준다라고 보면 되겠다. S는 리듬게임에 도가 튼 사람이 아니라면 찍기 어렵다. 어차피 등급은 보정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니, 심심풀이용이라 볼 수 있다. |
|
153 | >D등급: '''입력 간격이 많이 들쭉날쭉하네요.(You are as consistent as lumpy oatmeal.)''' |
|
154 | ||
155 | >C등급: '''살짝 미묘하겠지만 이 정도면 충분하겠네요.(You are as consistent as porridge.)''' |
|
156 | ||
157 | >B등급: '''상큼하네요.(You are as consistent as smooth orange juice.)''' |
|
158 | ||
159 | >A등급: '''정말 부드럽군요. 잘하셨어요!(You are as consistent as top dollar cream! Well done!)'''[* 구버전에선 이 등급을 받으면 보정 노래의 리믹스가 나온다. 현재 버전에선 S등급과 같이 박수갈채가 나온다. 보정 화면을 나가거나 그 상태로 기다리면 소리는 사라진다.] |
|
160 | ||
161 | >S등급: '''완벽하군요. 축하합니다!(Consistent as milk. Congratulation!)'''[* 제일 높은 등급으로 이 등급을 받으면 박수갈채가 나온다. 보정 화면을 나가면 박수갈채는 사라진다.] |
|
162 | ||
163 | === 판정 === |
|
164 | 판정은 '''{{{#red 너무 빠름}}}'''/'''{{{#ff8000 빠름!}}}'''/'''{{{#32cd32 빠름}}}'''/'''{{{#32cd32 정확}}}'''/'''{{{#32cd32 느림}}}'''/'''{{{#ff8000 느림!}}}'''/'''{{{#red 너무 느림}}}'''/'''{{{#26f6fe 다중 입력!}}}'''/'''{{{#c20cb0 과부하...}}}''' 로 총 9개다. |
|
165 | 에디터와 창작마당에서 실패 방지 기능을 사용하였을 때는 '''{{{#purple 놓침...}}}''' 판정이 추가된다. |
|
166 | ||
167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168 | ||<colbgcolor=#27263E><table bordercolor=#000,#383b4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69 | {{{#5CF84A '''정확'''[br]Perfect!}}}}}} || 타일에 정확히 안착했을 때 출력되나 판정 범위에 속도에 따른 약간의 유격이 있어서 100% 완벽하게 누르진 않아도 된다. || |
|
170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71 | {{{#98F449 '''빠름'''[br]EPerfect!}}}}}} || 행성이 타일에 완전히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안착했을 때 누르면 출력된다. 해당 판정이 뜨면 공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더라도 뚝 끊긴 다음 공이 타일 안에 들어가며 다음 궤도가 살짝 빨리 시작된다. || |
|
172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73 | {{{#98F449 '''느림'''[br]LPerfect!}}}}}} || 공이 타일을 살짝 지나쳐 안착했을 때 출력된다. '''빠름'''처럼 이 판정이 뜨면 공이 타일을 지나쳤더라도 다시 돌아와 해당 타일에 안착하며 다음 궤도로 넘어간다. || |
|
174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75 | {{{#F76C4B '''빠름!'''[br]Early!}}}}}} || '''빠름'''보다 조금 더 빨리 눌렀을 때 출력된다. '''느림!'''보단 자주 볼 수 있다. 게임 특성상 빨리 누른 게 늦게 누른 것보다 살 수 있는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빠름!''' 메세지가 출력된 경우 행성이 다음 타일에 안착하지만 완벽주의 모드일 경우 안착하지 않고 지나간다 || |
|
176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77 | {{{#F76C4B '''느림!'''[br]Late!}}}}}} || '''느림'''보다 조금 더 느리게 누르면 출력된다. 역시 일반적으로 '''느림!''' 메세지가 출력된 경우 공이 다음 타일에 돌아와 안착하지만 완벽주의 모드일 경우 안착하지 않고 지나간다 || |
|
178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79 | {{{#F40201 '''너무 빠름'''[br]Early!!}}}}}} || '''빠름!'''보다 더 빨리 눌렀을 때 출력된다. 이 판정부터는 행성이 타일에 안착하지 못하게 된다. 한마디로 '''빠름''', '''빠름!'''과 달리 다음 궤도로 넘어가지 않고 그냥 해당 궤도가 계속 진행하기 때문에 죽지는 않고 재빨리 박자를 맞춰주면 되지만, 대부분은 박자를 놓쳐서 '''너무 느림'''이 나오고 죽게 된다. 참고로 두 키가 동시에 판정이 따로 뜨는 것을 이용해 키보드의 키를 두 키 이상같이 누르면 너무 빠름과 좋은 판정이 같이 떠서 넘어가기도 한다. || |
|
180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81 | {{{#F40201 '''너무 느림'''[br]Late!!}}}}}} || '''느림!'''보다 더 느리게 누르면 출력된다. 너무 빠름은 바로 정박을 맞추면 살 수는 있지만 너무 느림은 이미 박차를 놓쳤기 때문에 다음 노트를 맞출 방법이 전무하기에 '''이게 떴다면 사실상 죽은 것이라고 보면 되겠다'''.[* 다만, v1.15.4에서 추가된 실패 방지 기능을 사용하였을 때는 다음에 '''놓침...''' 판정이 나와서 죽지 않는다.] 화면에 붉은 색이 깜빡이면서 결국 죽게 된다. 대부분 죽는 방법이 너무 빠름이 뜨고 또 클릭을 못해 결국 너무 느림이 뜨기 때문. || |
|
182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83 | {{{#26f6fe '''다중 입력!'''[br]Multipress!!}}}}}} || 35도를 넘는 각도를 동시에 입력하면 뜨는 메시지이다.[* 원래는 90도 이상이였지만, 여러번의 업데이트를 통해 패치가 되었다. 그 증거로 다중입력!판정이 맨 처음 나온 버전에서 75도로 꺾은 질주를 꺾을때 동시에 쳐도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90도에서는 다중입력 판정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그러나 완화 패치 이후 거의 뜨지 않으며, 비동기 입력 설정을 사용한다면 아예 뜨지 않는다.[* 실패 방지 모드가 켜진 상태에서 미드스핀 타일을 누르지 않고 다음 타일에 입력할 때도 표시된다.] || |
|
184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85 | {{{#D255F7 '''과부하...'''[br]Overload...}}}}}} || 과부하로 인해 죽거나 실패 방지를 킨 상태에서 과부하 조건을 총족했을 때 뜨는 판정이다. || |
|
186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2px 7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ackground: #101121" |
|
187 | {{{#D255F7 '''놓침...'''[br]Miss...}}}}}} || 실패 방지 기능을 사용하는 중 박자를 놓쳤을 때 뜨는 판정으로, 원래는 실패했어야 하지만 실패 방지 기능을 사용중일 때 자동으로 다음 타일로 넘어가면서 뜬다. 단, 실패 방지 기능을 사용하고 있어야지만 볼 수 있는 판정이다. ||}}} |
|
188 | ||
189 | 공이 움직이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판정이 엄격해진다.[* 단, 모바일은 그렇지 않다] 따라서 같은 속도의 박자로 각도를 줄인 연타보다 bpm을 높인 연타가 훨씬 어렵다. 대략적으로 낮은 BPM의 경우[* 일정 BPM(보통 판정 기준 310) 이상에서는 BPM이 더 높아지더라도 판정이 더 엄격해지지 않고 고정된다.] '''{{{#32cd32 정확}}}'''은 24분박 이내, '''{{{#32cd32 빠름}}}''' 또는 '''{{{#32cd32 느림}}}'''은 16분박 이내, '''{{{#ff8000 빠름!}}}''' 또는 '''{{{#ff8000 느림!}}}'''은 12분박 이내 정도이며, B/XO/엄격한 판정 상태의 XT번째 세계는 이것보다 한 단계정도 판정이 까다롭다고 보면 된다. 정확히는 bpm에 관계 없이 빠른 쪽 45도, 느린 쪽 45도 까지이다. |
|
190 | ||
191 | * '''정확도(%)''' = '''{{{#32cd32 정확}}}''' 판정 개수 × 0.01 + ('''{{{#32cd32 정확}}}''' 판정 개수 + '''{{{#32cd32 빠름}}}''' 판정 개수 + '''{{{#32cd32 느림}}}''' 판정 개수) × 100 / 전체 판정 개수 |
|
192 | * 따라서, 이론상 최대 정확도는 모든 타일을 '''{{{#32cd32 정확}}}''' 판정으로 클리어했을 때 100% + 전체 타일 개수 × 0.01% 이다. |
|
193 | ||
194 | 설정에 완벽주의자 설정이 있는데, 이를 켰을 경우 '''{{{#32cd32 느림}}}''' 판정은 네모칸이 빨갛게, '''{{{#32cd32 빠름}}}''' 판정은 네모칸이 파랗게 표시된다.[* 죽지는 않는다.] 리듬게임에 흔하게 있는 FAST/SLOW 판정을 표시하는 옵션과 비슷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ff8000 빠름!}}}과 {{{#ff8000 느림!}}}이 틀린 것으로 처리되는 기능이 같이 들어있다. |
|
195 | ||
196 | [[간접미스]]에 대한 페널티를 부여하기 위해, '''빠름!~느림!''' 판정 범위를 벗어난 타이밍에[* --'''너무 느림!'''이 여러 개 떠도 과부하가 뜰 수 있다.-- 언제부터인지 '''너무 느림!'''을 세번 이상 입력해도 과부하가 뜨지 않게 되었다] 세 번 이상 키 입력이 되었을 경우 화면에 '''과부하!'''[* 참고로 게이지 형식으로, 꼭 한 타일에 3번 누르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경우에도 과부하가 뜰 수 있다.(예를 들어서 1-X에서 한 타일에 안착할때 2번씩 누른다거나)](원문은 '''OVERLOAD!!!''')라고 표시되며 죽는다. 이 과부하 게이지의 떨어지는 속도는 레벨의 기본 설정된 BPM을 따라가며, 중간에 레벨의 속도가 변한다고 해서 기준이 달라지지 않는다. |
|
197 | ||
198 | '''{{{#red 너무 빠름}}}''' 또는 '''{{{#red 너무 느림}}}''' 판정을 받으면[* 완벽주의 모드로 설정시 {{{#f80 빠름!}}}과 {{{#f80 느림!}}}도 포함] 입력 지점에 X자 표시가 되어 자신이 어떻게 실수했는지 알 수 있다. 1.12.3 베타 버전에서는 '''{{{#26f6fe 다중 입력!}}}'''도 표시된다. --덕분에 뭉개기가 불가능해졌다.-- |
|
199 | ||
200 | ==== 완벽한 플레이 ==== |
|
201 | {{{+2 Pure Perfect! / 완벽한 플레이!}}}[* 유저들 사이에선 짧게 완플이라고도 불리며 간혹 비틀어서 [[와플]]이라고도 한다.] |
|
202 | ||
203 | 채보 내의 모든 트랙을 '''{{{#32cd32 정확}}}''' 판정으로 처리할 경우 마지막 흰 원에 들어왔을 때 '축하합니다!' 라는 문구 대신 출력된다.[* 7번째 세계에서는 '''냥벽한''' 플레이, 영어 설정에서는 Pure '''Purr'''fect라고 뜨는 현상이 있다. '''Purr'''은 [[골골송|고양이가 가르랑거린다]]는 뜻인데, 아마 7번째 세계 도전과제 아이콘도 고양이고 맵 안에 고양이가 등장해서 해놓은 농담인듯.] 그리고 해당 세계의 정확도 수치가 흰색에서 노란색으로 바뀐다. A Dance of Fire and Ice는 채보 내의 모든 트랙에 콤보가 이어져야만 클리어가 되는 구조의 리듬 게임이기에 올콤보라는 개념이 희미한 편이다. 그래서 이 '''퓨어 퍼펙트가 사실상 이 풀콤보의 개념을 대신해주고 있다'''고 보면 된다.[* 정확히는 [[이론치]] 혹은 올퍼펙트에 더 가깝다. 해당 레벨에서 뽑아낼 수 있는 최대 성과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 예를 들어 [[태고의 달인 시리즈]]의 전량, 동더풀콤보와 같다고 보면 된다.] 현재는 체크포인트의 추가로 체크포인트 없이 클리어하는 것을 '올콤보'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
|
204 | ||
205 | 난이도가 비교적 쉬운 1~5번째 세계까지는 조금만 시도해도 달성 가능하지만, 난이도가 높은 6~12번째 세계나 B번째 세계, 특히 '''왕관섬 세계'''는 달성하기가 매우 어렵다. 특히 B번째 세계를 넘어가는 경우 정말 웬만큼 고인 수준이 아니면 완벽한 플레이를 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정 못하겠으면 판정 제한을 키고 연습해보자. 한마디로 [[고인물]]용 컨텐츠라고 보면 되겠다. 혹은 배속을 낮추고 해도 완벽한 플레이를 띄울 수 있으니 한번 그렇게도 해보자. |
|
206 | ||
207 | 패치로 설정에서 시각 효과를 제거하는 기능이 추가되였다. 이 기능을 활성화 하면 카메라, 필터 등의 이벤트들을 제거하여 길의 가독성을 조금이나마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XH번째 세계를 시각 효과를 최소상태로 실행하면 초반 타일 이동, 중후반 눈폭풍 필터, 카메라 회전 이벤트를 없앨 수 있다. 물론 [[답이 없다|보이지 않는 타일 구간은 예외]]. 그러나 꼭 필요한 시각 효과가 없어져 되레 더 어려워지는 경우도 있다. |
|
208 | ||
209 | ==== 실패 방지 모드 ==== |
|
210 | '''{{{+2 No fail mode / 실패 방지 모드}}}''' |
|
211 | ||
212 | 얼불춤 Steam 1.15.0 (r80) 릴리스 버전에 추가된 기능이다. 레벨 에디터와 창작마당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킨 경우 과부하와 매우 느림 판정에도 게임오버되지 않고, '''{{{#c20cb0 과부하...}}}''', '''{{{#c20cb0 놓침...}}}'''과 해골 기호를 띄워 표시한다. 초보자들이나 어려운 맵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하다. |
|
213 | ||
214 | 실패 방지 기능을 킬 시 정확도는 다음과 같다. |
|
215 | * '''정확도''' = '''{{{#32cd32 정확}}}''' 판정 개수 × 0.01% + ('''{{{#32cd32 정확}}}''' 판정 개수 + '''{{{#32cd32 빠름}}}''' 판정 개수 + '''{{{#32cd32 느림}}}''' 판정 개수) / (전체 판정 개수 + '''{{{#c20cb0 과부하}}}''' + '''{{{#c20cb0 놓침}}}''') |
|
216 | ||
217 | ==== 절대 정확도 ==== |
|
218 | '''{{{+2 X-Accuracy / 절대 정확도}}}''' |
|
219 | ||
220 | 역시 얼불춤 Steam 1.15.0 (r80) 릴리스 버전에 실패 방지 기능이랑 같이 추가된 기능이다. 설정에서 [설정] - [고급] 탭에 있는 '절대 정확도 보이기' 라는 설정에서 켜고 끄기가 가능하다. 이 설정을 켤 경우, 상세한 결과 창에서 일반 정확도 대신 절대 정확도가 표시된다. 절대 정확도는 일반 정확도와 다르게 이론상 최대 정확도가 100%로 한정되어 있다. 각 판정에 대한 정확도는 다음과 같다. |
|
221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
222 | ||<tablebgcolor=white,black><table bordercolor=#dddddd,#383b40> '''{{{#32cd32 정확}}}''' ('''{{{#32cd32 Perfect!}}}''') || 100% || |
|
223 | || '''{{{#64cd32 빠름}}}''' ('''{{{#64cd32 EPerfect!}}}''') || 75% || |
|
224 | || '''{{{#64cd32 느림}}}''' ('''{{{#64cd32 LPerfect!}}}''') || 75% || |
|
225 | || '''{{{#ff8000 빠름!}}}''' ('''{{{#ff8000 Early!}}}''') || 40% || |
|
226 | || '''{{{#ff8000 느림!}}}''' ('''{{{#ff8000 Late!}}}''') || 40% || |
|
227 | || '''{{{#red 너무 빠름}}}''' ('''{{{#red Early!!}}}''') || 20% || |
|
228 | || '''{{{#c20cb0 과부하...}}}''' ('''{{{#c20cb0 Overload...}}}''') || 0% || |
|
229 | || '''{{{#c20cb0 놓침...}}}''' ('''{{{#c20cb0 Miss...}}}''') || 0% ||}}} |
|
230 | * '''절대 정확도 계산 방법''' = {( '''{{{#32cd32 정확}}}''' 판정 개수 × 100 ) + ('''{{{#64cd32 느림}}}''' , '''{{{#64cd32 빠름}}}''' 판정 개수 × 75 ) + ( '''{{{#ff8000 빠름!}}}''' , '''{{{#ff8000 느림!}}}''' 판정 개수 × 40 ) + ('''{{{#red 너무 빠름}}}''' 판정 개수 × 20)} ÷ 총 판정 개수 |
|
231 | ||
232 | 이를 통해 어느 정도 정확히 친 건지 확실히 확인이 가능해졌다. |
|
233 | 또한 절대 정확도가 켜져있다면 최종 결과에 (0.9875 ^ '''체크포인트 수''') 가 곱해지게 된다. |
|
234 | 예를 들어 체크포인트를 30번 사용하고 완벽한 플레이를 했다면, 최종 절대 정확도는 68.5가 된다. |
|
235 | ||
236 | === [[/레벨 에디터|레벨 에디터]] === |
|
237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레벨 에디터)] |
|
238 | ||
239 | ==== [[/레벨 에디터/이벤트|이벤트]] ==== |
|
24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레벨 에디터/이벤트)] |
|
241 | ||
242 | === 커스텀 레벨&창작마당 === |
|
243 | 스팀 창작마당에서 유저들이 만든 맵[* 공식적으로 '레벨'이라는 명칭을 사용하나, 한국 유저들 사이에서는 '맵'으로 통용된다.]을 찾아서 사용할 수 있다. 파일을 다운받아 에디터에서 플레이하는 것도 가능하다. |
|
244 | ||
245 | F, O, S, N을 누르면 여러 가지 기능 사용이 가능하다. |
|
246 | * F: 레벨 검색하기 |
|
247 | * O: 레벨 순서 번경 |
|
248 | * S: 배속 도전 모드 켜기/끄기[* 배속 도전 모드가 켜지면 배경이 붉은색으로 변하고, 꺼지면 다시 파란색으로 돌아온다.] |
|
249 | * N: 실패 방지 켜기/끄기 (점수 저장되지 않음)[* 실패 방지 기능을 켠 상태로 레벨은 플레이할 수 있으며 기록은 저장되지 않는다.] |
|
250 | ||
251 | 커스텀 레벨이 생기면서 레벨 에디터에도 커스텀 레벨에 영향을 주는 기능이 생겼다. |
|
252 | * 포털 이미지: 커스텀 레벨에서 해당 레벨 자리에 행성이 있을 때 포털 안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업로드한다. |
|
253 | * 레벨 아이콘: 커스텀 레벨에서 해당 레벨 자리의 아이콘을 업로드한다.[* 투명도가 있는 이미지를 추천한다.] |
|
254 | * 레벨 아이콘 색상: 위 레벨 아이콘에 색상을 입힌다. |
|
255 | * 곡 미리듣기 시작: 곡의 길이에서 미리듣기가 시작될 시간을 정한다. 단위는 초이며, 40이라고 입력하면 음원 ogg 파일의 40초 부분부터 미리듣기가 시작되는 식이고 80이라고 적으면 1분 20초가 된다. |
|
256 | * 곡 미리듣기 길이: 곡 미리듣기가 시작되고 끝날 때까지의 시간을 정한다. 마찬가지로 단위는 초이며, 최대 20초까지 설정 가능하다. |
|
257 | * [[광과민성 증후군|광과민성]] 경고: 레벨의 시각 효과가 광과민성 발작 우려가 있을 때 체크해야 한다. 커스텀 레벨 선택창에서 광과민성 경고를 표시해준다. |
|
258 | * 레벨 설명: 레벨명의 아래에 표시될 해당 레벨의 설명을 작성할 수 있다. |
|
259 | * 레벨 태그: 창작마당에서 검색 시 해당 레벨에 표시할 태그를 정한다. 쉼표로 구분한다. |
|
260 | * 작곡가 허락 증명: 작곡가가 해당 곡 사용을 허가한 내용이 담긴 이미지를 업로드하는 란이다. 이미 허가된 작곡가의 음원일 경우 필수는 아니다. |
|
261 | * 작곡가 링크: 작곡가의 SNS 주소를 붙여넣는다. 커스텀 레벨에서 아티스트명 옆에 링크가 붙는다. |
|
262 | * 난이도: 10레벨까지 존재하며 1~3레벨은 초록색, 4~6레벨은 노란색, 7~9레벨은 빨간색, 10레벨은 보라색으로 분류한다. 커스텀 레벨에서는 팔각형 보석 타일로 표시된다.[* 이 난이도는 레벨 제작자가 주관적으로 정한 것이며, 객관적인 난이도를 알고 싶다면 비공식 포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
|
263 | ||
264 | 이를 다 작성한 후 게임 내에서 내보내기를 누르면 창작마당에 자동으로 커스텀 레벨이 투고된다. |
|
265 | 또한 인게임 커스텀 레벨 창에서 Delete 키를 눌러 레벨을 바로 삭제(구독 취소)할 수 있다. |
|
266 | ||
267 | 모바일 버전에서는 창작마당 및 레벨 에디터 기능을 이용할 수 없다. |
|
268 | ||
269 | ==== [[틀:A Dance of Fire and Ice/문서가 존재하는 맵|문서가 존재하는 레벨]] ==== |
|
270 | [include(틀:A Dance of Fire and Ice/문서가 존재하는 맵 )] |
|
271 | ||
272 | ==== LOTY(Level Of The Year) ==== |
|
273 | 본래는 [[Nichipe]]에 의해 개최되다 2023년부터는 [[https://www.youtube.com/@rKizCora_main|rKizCora]]에 의해 개최되는 공식[* 2021년까지는 공식측에선 개발자 픽만 답해주는 준공식이었지만 2022년부터는 수상작이 추천 레벨에도 등재되는 등 공식 시상식으로 자리잡았다.] 커스텀 레벨 시상식이다. 종목은 매번 달라질 수 있으며, 후보 제출 기간에 유저가 직접 각 상의 후보 레벨을 추천할 수 있다. 수상 후보로 오른 레벨은 [[/추천 레벨|추천 레벨]]에 등재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 [[/추천 레벨/클래식/Wave 6~10#1, 2, 3, 4!|1, 2, 3, 4!]], [[/추천 레벨/클래식/Wave 6~10#endless.reality|endless.reality]], [[/추천 레벨/클래식/Wave 6~10#Vigor Lines Yoked|Vigor Lines Yoked]], [[/추천 레벨/클래식/Wave 6~10#You and Me|You and Me]], [[/추천 레벨/클래식/Wave 6~10#Love Letters (KOTDARI Remix)|Love Letters (KOTDARI Remix)]], 그리고 현재는 삭제된 Black And White (short) 등이 있다.] |
|
274 | ||
275 | 현재까지 2020년부터[* 현재 2020년 영상은 장식 저작권 때문에 일부 공개 처리 되어 있다.] 2024년까지 총 6번[* 2021년에는 상반기와 하반기 두번 개최되었다.] 개최되었다. |
|
276 | ||
277 | ||<-6> {{{+2 '''역대 올해의 레벨상 수상작'''}}} || |
|
278 | || 연도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비고 || |
|
279 | || 2020년 || [[Plum(작곡가)|Plum]] || [[R(Plum)|R]] || KanoKaz & NumbEr07 || [*F [[/추천 레벨|추천 레벨]]에 등재되었다.] || |
|
280 | || 2021년 상반기 || [[linear ring]] || [[enchanted love]] (and the witch's selfish heart) || Team Vega || || |
|
281 | || 2021년 하반기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Hello (BPM) 2021]] || Nephrolepis & 2seehyun || || |
|
282 | || 2022년 || [[Cansol]] || [[1,2,3,4!]] || Team BGA || [*F] || |
|
283 | || 2023년 || [[iTIC]] || Triple Sec || Pharah || [*F] || |
|
284 | || 2024년 || [[KOTDARI]], [[RoDy.cOde]], Spehs || Pure Black || AWC Chart Team 《Colourless》 || || |
|
285 | {{{#!folding [ 역대 LOTY 결과 펼치기 • 접기 ] |
|
286 | * 2020년 |
|
287 | [[https://youtu.be/l9Zsrsy6T5I|시상식 영상]] |
|
288 | ||<tablebordercolor=#FFB577,#FFB577><rowbgcolor=#E9964A,#DE7F3F><rowcolor=#FFF080,#FFD27D> '''상'''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득표수''' || '''비고''' || |
|
289 | ||<|3><colbgcolor=#E9964A,#DE7F3F><colcolor=#FFF080,#FFD27D> '''올해의 이펙트상'''[br]'''(Effect Award)''' || 1위 || [[Plum(작곡가)|Plum]] || [[R(Plum)|R]] || KanoKaz & NumbEr07 || 231표(33%) || [*F] || |
|
290 | || 2위 || [[meganeko]] || Feral[* 시상식 영상에선 Insane 버전으로 등장했으나 Easy, Normal, Hard, Insane 전부 이펙트는 똑같기 때문에 상관 없다.] || Ma6icCu8e || 110표(15.7%) || [*F] || |
|
291 | || 3위 || DOT96 || [[MAKE IT FUNKY NOW]] || PizzaLovers007 || 69표(9.9%) || [*F] || |
|
292 | ||<|3> '''올해의 예술상'''[br]'''(Art Award)''' || 1위 || [[LeaF]] || [[Aleph-0]] || Ssimille || 186표(26.6%) || || |
|
293 | || 2위 || Ras || [[STAGER]] || XiZnYng[*X [[https://youtu.be/2d4IaeQtsYE|논란]]으로 인해 모든 상을 [[https://www.youtube.com/post/Ugzlq4dqbkaGd151Xft4AaABCQ|박탈당했다]].] || 124표(17.7%) || || |
|
294 | || 3위 || [[Bossfight]] || [[Commando Steve]] || Kyi & KanoKaz || 120표(17.1%) || || |
|
295 | ||<|3> '''올해의 재미상'''[br]'''(Fun Award)''' || 1위 || [[Plum(작곡가)|Plum]] || [[R(Plum)|R]] || KanoKaz & NumbEr07 || 168표(24%) || [*F] || |
|
296 | || 2위 || fizzd & Jade Kim || Please Stop Playing My Levels || Firestix || 151표(21.6%) || || |
|
297 | || 3위 || DOT96 || [[MAKE IT FUNKY NOW]] || PizzaLovers007 || 101표(14.4%) || [*F] || |
|
298 | ||<|3> '''올해의 힐링상'''[br]'''(Healing Award)''' || 1위 || [[ARForest]] || Life || XiZnYng[*X] || 116표(16.6%) || || |
|
299 | || 2위 || [[Xomu]] || Lanterns || Strode || 102표(14.6%) || || |
|
300 | || 3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Together forever, my lovely lovely video game cartridges || HanB || 98표(14%) || || |
|
301 | ||<|3> '''올해의 기믹상'''[br]'''(Gimmick Award)''' || 1위 || [[Bossfight]] || [[Commando Steve]] || Kyi & KanoKaz || 159표(22.7%) || || |
|
302 | || 2위 || [[Waterflame]] || Space Pirate || XiZnYng[*X] || 97표(13.9%) || || |
|
303 | || 3위 || *er* || ハイパーミラクルシューティングスター || PowerFactory || 96표(13.7%) || || |
|
304 | ||<|3> '''올해의 난이도상'''[br]'''(Difficulty Award)''' || 1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We Could Get More Machinegun Psystyle! (And More Genre Switches) || Appeal || 179표(25.6%) || || |
|
305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NIGHTMARE † CITY || Raintop & Rallanda || 124표(17.7%) || || |
|
306 | || 3위 || [[meganeko]] || Feral [Insane] || Ma6icCu8e || 75표(10.7%) || [*F] || |
|
307 | ||<|3> '''올해의 관상용상'''[br]'''(Gallery Award)''' || 1위 || [[t+pazolite]] || [[BPM=RT]] || -K || 157표(22.4%) || || |
|
308 | || 2위 || [[MegaSphere]] || Inferno (Nerfed) || Nephrolepis & -K || 146표(20.9%) || || |
|
309 | || 3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Blackmagik Blazing || 헤르니 || 145표(20.7%) || || |
|
310 | ||<|3> '''올해의 예능상'''[br]'''(Meme Award)''' || 1위 || NceS || [[Burn(BMS)|Burn]] || Ssmille || 322표(46%) || [*F] || |
|
311 | || 2위 || fizzd & Jade Kim || Please Stop Playing My Levels || Firestix || 227표(32.4%) || || |
|
312 | || 3위 || [[黒魔|Chroma]] || クリスマス 祝福 失敗(Christmas blessing failure) || 바퀴 || 83표(11.9%) || || |
|
313 | ||<|3> '''올해의 레벨'''[br]'''(LOTY)''' || 1위 || [[Plum(작곡가)|Plum]] || [[R(Plum)|R]] || KanoKaz & NumbEr07 || 241표(34.4%) || [*F][* 현재 얼불춤 내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커스텀 레벨들중 하나에 속하며, 2023년 12월 31일 기준 창작마당 구독(다운로드) 횟수 2위에 속한다.] || |
|
314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We Could Get More Machinegun Psystyle! (And More Genre Switches) || Appeal || 81표(11.6%) || || |
|
315 | || 3위 || [[meganeko]] || Feral[* 시상식 영상에선 Insane 버전으로 등장했으나 Easy, Normal, Hard, Insane 전부 이펙트는 똑같기 때문에 상관 없다.] || Ma6icCu8e || 75표(10.7%) || [*F] || |
|
316 | ||
317 | * 2021년 상반기 [[https://docs.google.com/document/d/1dQA6SOhfnzzAfeX9yj0a79os8pfYhWgUs7kR51rFRn0/edit|상세 결과]] |
|
318 | [youtube(7UtpREHJ4V0)] |
|
319 | ||<tablebordercolor=#484F54,#ffffff><rowbgcolor=#7FC8FA,#1C547B><rowcolor=#1C547B,#7FC8EA> '''상'''[* 생방송에서는 더 많은 상들을 수여했으나, 여기는 [[https://youtu.be/7UtpREHJ4V0|결과 발표 영상]]에서 나온 상들만 서술한다.]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득표수''' || '''비고''' || |
|
320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예술상'''[br]'''(Arts Award)''' || 1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僕たちの旅とエピローグ。]] -Long Ver- || Team Vega || 116표 || || |
|
321 | || 공동 2위 || [[linear ring]] || [[enchanted love]] (and the witch's selfish heart) || Team Vega || 85표 || || |
|
322 | || 공동 2위 || [[Plum(작곡가)|Plum]] || [[Sinkhole(Plum)|Sinkhole]] || Ssimille || 85표 || || |
|
323 | || 4위 ||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 [[La Campanella]] || Juhn Wonu || 60표 || || |
|
324 | || 5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crystallized(음악)|crystallized]] || Team Vega || 52표 || [*F] || |
|
325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기믹상'''[br]'''(Gimmick Award)''' || 1위 || [[Kurokotei]] || [[Chronostasis]] || put사과 || 135표 || || |
|
326 | || 2위 || [[Sound Souler]] || Rapidspectrum || XiZnYng[*X] || 90표 || || |
|
327 | || 3위 || [[Sound Souler]] || [[3rd Avenue]] || Ssimille || 85표 || || |
|
328 | || 4위 || [[Cosmograph]] || [[ELIMINATOR]] || XiZnYng[*X] || 43표 || || |
|
329 | || 5위 || [[Frums]] || [[theyaremanycolors]] || XiZnYng[*X] || 36표 || || |
|
330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힐링상'''[br]'''(Healing Award)''' || 1위 || [[ARForest]] || Life || Parku || 127표 || || |
|
331 | || 2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ゆめのつづき(Dream continuation) || Pharah || 63표 || || |
|
332 | || 3위 || [[ARForest]] || Antique || Editor AlriC & plo || 46표 || || |
|
333 | || 4위 || [[ARForest]] || Intro || hotduck & 바퀴 & 2seehyun || 38표 || || |
|
334 | || 5위 || Snakywine || Classy Kitty || pixelo3o || 27표 || [*F] || |
|
335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난이도상'''[br]'''(Difficulty Award)''' || 1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ΩΩPARTS]] || Nephrolepis || 204표 || || |
|
336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First Town Of This Journey || thanks || 72표 || || |
|
337 | || 3위 || [[Frums]] || We Want To Run || XiZnYng[*X] || 25표 || || |
|
338 | || 4위 || [[linear ring]] || waitingforyou (All Beat) || 직검 || 23표 || || |
|
339 | || 5위 || [[Kurokotei]] || Nonbinarity || Zagon || 20표 || || |
|
340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관상용상'''[br]'''(Gallery Award)''' || 1위 || [[Kurokotei]] || [[Scattered Faith]] || Nephrolepis || 184표 || [* 현재 [[동방 프로젝트]] 곡들의 작곡가 [[ZUN]]이 커스텀 레벨 제작을 불허하면서 동방 리믹스 곡인 Scattered Faith도 불허 처리 되어 레벨이 삭제되었다.] || |
|
341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M1LLI0N PP]] || Nephrolepis || 101표 || || |
|
342 | || 3위 || [[Frums]] || multi_arm || Zagon || 63표 || || |
|
343 | || 4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GHOST (2020 Halloween+++++++++ VIP) || 바퀴 || 47표 || || |
|
344 | || 5위 || [[Frums]] || multi_arm || plo || 24표 || || |
|
345 | ||<|5><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올해의 레벨상'''[br]'''(LOTY)''' || 1위 || [[linear ring]] || [[enchanted love]] (and the witch's selfish heart) || Team Vega || 158표 || || |
|
346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First Town Of This Journey || thanks || 121표 || || |
|
347 | || 3위 || [[ARForest]] || Life || Parku || 45표 || || |
|
348 | || 4위 || [[Kurokotei]] || [[Chronostasis]] || put사과 || 41표 || || |
|
349 | || 5위 || [[Sound Souler]] || [[3rd Avenue]] || Ssimille || 32표 || || |
|
350 | ||<-7><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개발자'''[* [[7th Beat Games]] 소속 얼불춤 개발자.]'''의 픽''' || |
|
351 | ||<-2> '''작곡가''' ||<-2> '''제목''' || '''레벨 제작자''' || '''선택한 개발자''' || '''비고''' || |
|
352 | ||<-2> [[BilliumMoto]] ||<-2> Ruby || Pharah || fizzd || [*F] || |
|
353 | ||<-2> [[Sound Souler]] ||<-2> [[3rd Avenue]] || Ssimille || Giacomo || || |
|
354 | ||<-2> [[linear ring]] ||<-2> [[enchanted love]] (and the witch's selfish heart) || Team Vega || PizzaLovers007 || || |
|
355 | ||<-7><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운영위원'''[* 2021년 상반기 LOTY 운영위원] '''픽''' || |
|
356 | ||<-2> '''작곡가''' ||<-2> '''제목''' || '''레벨 제작자''' || '''선택한 운영위원''' || '''비고''' || |
|
357 | ||<-2>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 ||<-2> [[La Campanella]] || Juhn Wonu || Nichipe[br]하치와레상 || || |
|
358 | ||<-2> [[Sound Souler]] ||<-2> Rapidspectrum || XiZnYng[*X] || Editor AlriC[br]바퀴 || [* 저작권 때문인지 수상 결과 발표 영상에서 이 레벨이 나오는 부분이 잘렸지만 몇프레임동안 잠깐 보인다.] || |
|
359 | ||<-2> [[Kurokotei]] ||<-2> [[Chronostasis]] || put사과 || Nephrolepis || || |
|
360 | ||<-7><bgcolor=#7FC8FA,#1C547B><color=#1C547B,#7FC8EA> '''인기상'''[* 후보 추천 횟수가 가장 많은 레벨.] '''수상작''' || |
|
361 | ||<-2> '''작곡가''' ||<-2> '''제목''' || '''레벨 제작자''' || '''후보 추천 횟수''' || '''비고''' || |
|
362 | ||<-2>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2> [[僕たちの旅とエピローグ。]] -Long Ver- || Team Vega || 10 || || |
|
363 | ||
364 | * 2021년 하반기 [[https://docs.google.com/document/d/1dQA6SOhfnzzAfeX9yj0a79os8pfYhWgUs7kR51rFRn0/edit|상세 결과]] |
|
365 | [youtube(BriWwHc7MLU)] |
|
366 | ||<tablebordercolor=#484F54,#ffffff><rowbgcolor=#C2CAF7,#4C5566><rowcolor=#4C5566,#C2CAF7> '''상'''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득표수'''[* 전체 표수는 205표.] || '''심사위원 점수''' || '''유저 점수''' || '''전체 점수''' || '''비고''' || |
|
367 | ||<|4><colbgcolor=#C2CAF7,#4C5566><colcolor=#4C5566,#C2CAF7> '''예술상'''[br]'''(Arts Award)''' || 1위 || [[siqlo]] || [[One Way Street]] || Pharah || 77 || 61.6 || 11.3 || 72.9 || || |
|
368 | || 2위 || [[BilliumMoto]] || Door Nock || Team Vega || 64 || 61.3 || 9.1 || 70.7 || || |
|
369 | || 3위 || [[Halv]] || 虛 (Utsuro) || pixelo3o || 24 || 64.8 || 3.5 || 68.3 || || |
|
370 | || 4위 || [[linear ring]] || Windflower (exclusive demo 2021.january) || Ara, Rimz || 40 || 56.7 || 5.9 || 62.6 || || |
|
371 | ||<|4> '''기믹상'''[br]'''(Gimmick Award)''' || 1위 || [[ELEPS]] || Black And White (short) || Star4th || 61 || 67.6 || 8.9 || 76.5 || [*FD [[/추천 레벨|추천 레벨]]에 등재 되었지만 작곡가 [[ELEPS]]의 논란으로 삭제되었다.] || |
|
372 | || 2위 || [[Lime(작곡가)|Lime]] || [[Chronomia]] || Editor AlriC || 85 || 12.4 || 61.2 || 73.6 || || |
|
373 | || 3위 || [[Plum(작곡가)|Plum]] || Aftershine || Tiara[* 현 닉네임 AraTi] || 36 || 56.4 || 5.3 || 61.7 || || |
|
374 | || 4위 || [[Rozebud]] || [[Friday Night Funkin'/모드/The Full-Ass Tricky Mod#Madness|Madness]] || JUNKYHARPIN || 24 || 55.4 || 3.4 || 58.8 || || |
|
375 | ||<|4> '''힐링상'''[br]'''(Healing Award)''' || 1위 || cnsouka || Night Wander (Remix) || Pharah || 70 || 63.8 || 10.2 || 74 || || |
|
376 | || 2위 || [[DUGGY MUSIC]] || Daily Life || kms || 72 || 60.5 || 10.5 || 71 || || |
|
377 | || 3위 || Skybreak || Goodbye || Logal0 || 40 || 61.7 || 5.9 || 67.6 || || |
|
378 | || 4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Embracing Intelligences || YOOL || 23 || 3.4 || 60.8 || 64.2 || || |
|
379 | ||<|2> '''관상용상'''[br]'''(Gallery Award)''' || 1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Hello (BPM) 2021]] || Nephrolepis & 2seehyun || 177 || 66.5 || 25.9 || 92.4 || || |
|
380 | || 2위 || [[Frums]] || 偽物 (Nisemono) || Nephrolepis|| 28 || 61.8 || 4.1 || 65.9 || || |
|
381 | ||<|3> '''예능상'''[br]'''(Entertainment Award)''' || 1위 || cardboard box || He He He || 하치와레상 || 142 || 58.5 || 20.8 || 79.3 || [* [[몰?루]] 모양의 마법진으로 유명한 레벨.] || |
|
382 | || 2위 || [[케빈 매클라우드|Kevin MacLeod]] || Jaunty Grumption || FluffyYoshi || 33 || 60.8 || 4.8 || 65.6 || || |
|
383 | || 3위 || [[Cansol]] || LeT's Go XrAzY cooXing! || hotduck & adusp || 30 || 60.5 || 4.4 || 64.9 || || |
|
384 | ||<|4> '''올해의 레벨상'''[br]'''(LOTY)''' || 1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Hello (BPM) 2021]] || Nephrolepis & 2seehyun || 135 || 60.4 || 19.8 || 80.2 || || |
|
385 | || 2위 || [[ELEPS]] || Black And White (short) || Star4th || 26 || 68.6 || 3.8 || 72.4 || [*FD] || |
|
386 | || 3위 || [[BilliumMoto]] || Door Nock || Team Vega || 22 || 58.1 || 3.2 || 61.3 || || |
|
387 | || 4위 || [[siqlo]] || [[One Way Street]] || Pharah || 22 || 57.5 || 3.2 || 60.7 || || |
|
388 | ||<-10> '''개발자'''[* [[7th Beat Games]] 소속 얼불춤 개발자.] '''베스트 픽''' || |
|
389 | || '''번호''' ||<-2> '''작곡가''' ||<-2> '''제목''' ||<-2> '''레벨 제작자''' ||<-2> '''선택한 개발자''' || '''비고''' || |
|
390 | || '''1''' ||<-2> [[linear ring]] ||<-2> Windflower (exclusive demo 2021.january) ||<-2> Ara, Rimz ||<-2> fizzd || || |
|
391 | || '''2''' ||<-2> [[siqlo]] ||<-2> [[One Way Street]] ||<-2> Pharah ||<-2> CrackThrough || || |
|
392 | || '''3''' ||<-2> [[ELEPS]] ||<-2> Black And White (short) ||<-2> Star4th ||<-2> PizzaLovers007 || [*FD] || |
|
393 | ||<-10> '''심사위원'''[* 2021년 하반기 LOTY 심사위원] '''베스트 픽''' || |
|
394 | || '''번호''' ||<-2> '''작곡가''' ||<-2> '''제목''' ||<-2> '''레벨 제작자''' ||<-2> '''선택한 심사위원''' || '''비고''' || |
|
395 | || '''1''' ||<-2> [[ELEPS]] ||<-2> Black And White (short) ||<-2> Star4th ||<-2> Nichipe || [*FD] || |
|
396 | || '''2''' ||<-2>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2> [[Hello (BPM) 2021]] ||<-2> Nephrolepis & 2seehyun ||<-2> Nephrolepis || || |
|
397 | || '''3''' ||<-2> [[케빈 매클라우드|Kevin MacLeod]] ||<-2> Jaunty Grumption ||<-2> FluffyYoshi ||<-2> 하치와레상 || || |
|
398 | || '''4''' ||<-2> [[Halv]] ||<-2> 虛 (Utsuro) ||<-2> pixelo3o ||<-2> yyy123454321 || || |
|
399 | || '''5''' ||<-2> [[siqlo]] ||<-2> [[One Way Street]] ||<-2> Pharah ||<-2> 나션 || || |
|
400 | ||
401 | * 2022년 [[https://nichipe.notion.site/2022-ADOFAI-LOTY-fb9fbd6925844d688712637786a3d092|상세 결과]] |
|
402 | [youtube(XDKKuU437cA)] |
|
403 | ||<tablebordercolor=#0000ff,#ff0000><rowbgcolor=#000000><rowcolor=#ff0000,#0000ff> '''상'''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개발자 점수''' || '''심사위원 점수''' || '''특별심사위원 점수''' || '''유저 점수''' || '''전체 점수''' || '''비고''' || |
|
404 | ||<|5><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0000ff> '''예술상'''[br]'''(Art-est Award)''' || 1위 || [[linear ring]] || [[enchanted love]] || Pharah || 42.5 || 16 || 18.2 || 7.2 || 83.9 || || |
|
405 | || 2위 || [[Cansol]] || [[1,2,3,4!]] || Team BGA || 41.5 || 16.6 || 15 || 10 || 83.1 || [*F] || |
|
406 | || 3위 || [[Cansol]] || Retrospective Falsification (VIP) || Toth & Nephrolepis & NfK & niAE || 38.5 || 15.2 || 17.4 || 5.1 || 76.2 || || |
|
407 | || 4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BMS)|∀]] || Pharah & Nephrolepis || 36 || 13.4 || 15.8 || 3.3 || 68.5 || || |
|
408 | || 5위 || [[Silentroom]] || [[驟雨の狭間]] || kernby & Team P.A.L. || 34 || 10 || 10.8 || 1.1 || 55.9 || || |
|
409 | ||<|4> '''기믹상'''[br]'''(Gimmick Award)''' || 1위 || [[Plum(작곡가)|Plum]] || [[비밀 인형극 II]] || MaySnow || 42.5 || 14.2 || 15.4 || 10 || 82.1 || || |
|
410 | || 2위 || [[Frums]] || Vigor Lines Yoked (Short) || Daming || 47 || 14.2 || 18.4 || 0.5 || 80.1 || [*F] || |
|
411 | || 3위 || [[Frums]] || gur yvsr(仮) || Star4th || 41 || 15 || 19.2 || 3.4 || 78.6 || || |
|
412 | || 4위 || sqwv+ || Frozen Time || 3_5ln[* Daming] || 37.5 || 15.8 || 18.8 || 3.1 || 75.2 || || |
|
413 | ||<|4> '''힐링상'''[br]'''(Relaxing Award)''' || 1위 || Abel & Inu || Dream of Memories || NfK || 39.5 || 14.6 || 18.2 || 10 || 82.3 || || |
|
414 | || 2위 || Fizzd & Jade Kim || [[Love Letters(Jade Kim)#Love Letters (KOTDARI Remix)|Love Letters (KOTDARI Remix)]] || pixelo3o, FluffyYoshi, yhld120 || 41 || 16.4 || 18 || 6.8 || 82.2 || [*F] || |
|
415 | || 3위 || [[しゃろう]] || You and Me || lU & Pharah || 44 || 13.6 || 16.2 || 4.4 || 78.2 || [*F] || |
|
416 | || 4위 || [[しゃろう]] || 3:03 PM || Team P.A.L. || 40 || 12.6 || 16.4 || 2.6 || 71.6 || || |
|
417 | ||<|4> '''Neo Cosmos상'''[br]'''(Neo Cosmos Award)''' || 1위 || Ash Astral || endless.reality || Rikri || 41.5 || 17 || 18.6 || 10 || 87.1 || [*F] || |
|
418 | || 2위 || [[Cansol]] || Elevator Music || Pharah & 정현수 || 46.5 || 13.2 || 18.4 || 8.5 || 86.6 || || |
|
419 | || 3위 || [[Silentroom]] || [[NULCTRL]] (ADOFAI Edit) || kernbYote vs. Team P.A.L. || 39.5 || 13.8 || 18.6 || 9.1 || 81 || || |
|
420 | || 4위 || [[linear ring]] || bloo cat bloo || Pharah || 37.5 || 14.6 || 18.2 || 8.5 || 78.8 || || |
|
421 | ||
422 | ||<-2><tablebordercolor=#0000ff,#ff0000><rowbgcolor=#000000><rowcolor=#ff0000,#0000ff> '''상''' ||<-2> '''작곡가''' ||<-2> '''제목''' ||<-2> '''레벨 제작자''' ||<-2> '''비고''' || |
|
423 | ||<-2><colbgcolor=#000000><colcolor=#ff0000,#0000ff> '''올해의 레벨상(LOTY)''' ||<-2> [[Cansol]] ||<-2> [[1,2,3,4!]] ||<-2> Team BGA ||<-2> [*F] || |
|
424 | ||
425 | * 2023년 [[https://rkizcora.notion.site/rkizcora/2023-ADOFAI-LOTY-Final-Results-a32f24516e6744c9a9efb7c7e81b91f2|상세 결과]] |
|
426 | [youtube(Rptboj2kW7I)] |
|
427 | ||<tablebordercolor=#ff0000><rowbgcolor=#ffff00,#0000ff><rowcolor=#0000ff,#ffff00> '''상'''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개발자 점수''' || '''심사위원 점수''' || '''유저 점수''' || '''전체 점수''' || '''비고''' || |
|
428 | ||<|5><colbgcolor=#ffff00,#0000ff><colcolor=#0000ff,#ffff00> '''예술상'''[br]'''(Art-est Award)''' || --1위--[br]↓[br]LOTY상 || [[iTIC]] || Triple Sec || Pharah || 48.33 || 32 || 15 || 95.33 || [* 원래 예술상 1위였으나 LOTY상을 받게 되면서 예술상을 2위였던 Avantgarde에 양보하게 됐다.][*F] || |
|
429 | || 1위 || [[Raimukun]] || [[Avantgarde]] || Team Vega || '''42.5''' || '''28.88''' || 7.09 || '''78.47''' || [*F] || |
|
430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Together forever, my lovely lovely video game cartridges || Team XNOR³[* [[CDF 2023]] [[CDF 2023/본선#Round 3: 페널티 라운드|3라운드]] 1위 팀.] || 28.75 || 24 || '''10.64''' || 63.39 || || |
|
431 | || 3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8Bit Shooting Star☆ || 새제비 & R=DY & PowerFactory & Pharah || 23.33 || 23.5 || 7.91 || 54.74 || || |
|
432 | || 4위 || [[MegaSphere]] || Inferno || Nephrolepis & -K & PLORALD & Irin & Editor AlriC & NoviceTowa. & niAE || 20 || 23.33 || '''10.64''' || 53.97 || || |
|
433 | ||<|5> '''기믹상'''[br]'''(Gimmick Award)''' || 1위 || LeFiK || Black Rose || CyanAqua || '''48.75''' || '''30.5''' || 8.3 || '''87.55''' || [*F] || |
|
434 | || 2위 || Olie || The Avenue Of Ash || TeoC || 40 || 27 || 8.62 || 75.61 || || |
|
435 | || 3위 || [[Frums]] || Flashbacklog || COMMON || 36.25 || 19 || '''15''' || 70.25 || || |
|
436 | || 4위 || trippy & 0mni || Remote Access Trojan || 0mni & trippy || 27.5 || 24 || 14.36 || 65.86 || || |
|
437 | || 5위 || 0mni || Collect N!! || CyanAqua, Wroughtstream, M1n3c4rt, Rikri || 21.25 || 26 || 13.72 || 60.97 || || |
|
438 | ||<|4> '''힐링상'''[br]'''(Relaxing Award)''' || 1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クローバーのやくそく(Promise of Clover) || 서다원 & 보름달쿠키 || '''40''' || 20 || '''15''' || '''75''' || [*F] || |
|
439 | || 2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recollect || COMMON || 37.5 || '''26.5''' || 7.15 || 71.15 || || |
|
440 | || 3위 || Cutos+sola || 夏が終わる || ED24 || 35.63 || 24 || 4.71 || 64.33 || || |
|
441 | || 4위 || Andreas B. || Miracle || Team Uncharted || 25 || 12 || 5.93 || 42.93 || || |
|
442 | ||<|3> '''Neo Cosmos 상'''[br]'''(Neo Cosmos Award)''' || 1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ZOMBIE CIRCUS || zedwards & 04_1008 || '''40''' || 28 || 10.88 || '''78.88''' || || |
|
443 | || 2위 || [[Ash Astral]] || Headspace || Alex1044 & 爱吞炸弹的猫咪 || 37.5 || '''28.58''' || 5.11 || 71.19 || || |
|
444 | || 3위 || [[Synthion]] || Light Years Away || Logal0 & pixelo3o || 35 || 14.5 || '''15''' || 64.5 || [* 현재 [[Synthion]]은 커스텀 레벨을 만드는 것을 불허하였지만 가이드라인 변경 전에 만들어진 레벨은 괜찮기 때문에 상관 없다.] || |
|
445 | ||<|5> '''올해의 레벨상'''[br]'''(LOTY)''' || 1위 || [[iTIC]] || Triple Sec || Pharah || '''50''' || '''32''' || '''15''' || '''97''' || [*F] || |
|
446 | || 2위 || [[かめりあ|かめりあ(Camellia)]] || ZOMBIE CIRCUS || zedwards & 04_1008 || 41.67 || 28.5 || 4.84 || 75.01 || || |
|
447 | || 3위 || [[Raimukun]] || [[Avantgarde]] || Team Vega || 41.67 || 22.75 || 7.26 || 71.67 || [*F] || |
|
448 | || 4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クローバーのやくそく(Promise of Clover) || 서다원 & 보름달쿠키 || 35 || 19.5 || 8.71 || 63.21 || [*F] || |
|
449 | || 5위 || LeFiK || Black Rose || CyanAqua || 38.33 || 22 || 1.94 || 62.27 || [*F] || |
|
450 | ||
451 | * 2024년 [[https://rkizcora.notion.site/LOTY2024-Final-Results-1835301a421980eda178f025dd977b20|상세 결과]] |
|
452 | [youtube(zLC1QVOjtqQ)] |
|
453 | ||<tablebordercolor=#3A0407,#FDFF3C><rowbgcolor=#FA5E26,#FA5E26><rowcolor=#FDFF3C,#3A0407> '''상''' || '''등수''' || '''작곡가''' || '''제목''' || '''레벨 제작자''' || '''개발자 점수''' || '''심사위원 점수''' || '''유저 점수''' || '''전체 점수''' || '''비고''' || |
|
454 | ||<|5><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예술상'''[br]'''(Art-est Award)''' || 1위 || [[Silentroom]] || [[驟雨の狭間|驟雨の狭間 (Rainshower)]] || 연석이2 & SomSom (feat. PillyXD, 오이) || 48.75 || 30.19 || 5.87 || 84.81 || || |
|
455 | || 2위 || [[roər]] || ViLLAGE OF CHRYSANTHEMUM || PELEX & 굥욷 (feat. Oz, Bingsu, OE) || 37.5 || 28 || 15 || 80.5 || || |
|
456 | || 3위 || [[Cansol]] || A school of fish || Wheel & Bingsu (feat. Yoon) || 43.75 || 29.75 || 4.89 || 78.39 || || |
|
457 | || 4위 || [[かめりあ|かめりあ (Camellia)]] || Heart of Android : Even If It's Only By Mechanism || SaJabe & Bingsu || 41.25 || 28.5 || 4.57 || 74.32 || || |
|
458 | || 5위 || [[linear ring]] || waitingforyou || Wheel & Bingsu (feat. ChyaRyam) || 42.5 || 23.63 || 2.61 || || || |
|
459 | ||<|5><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혁신상'''[br]'''(Innovation Award)''' || 1위 || 0mni || Chateau Delve || Hawkyrious || 46.25 || 29.31 || 7.71 || 83.28 || || |
|
460 | || 2위 || Amor Mea Fati (Steven Hoffman) || Supersymmetry || CyanAqua || 37.5 || 25.38 || 5.14 || 68.02 || || |
|
461 | || 3위 || [[Shirobon]] || Sonder || Bin, Vybbles, Rikri, TeoC || 21.25 || 23.63 || 15 || 59.88 || [*F] || |
|
462 | || 4위 || [[celtix]] & Ezame || trokreskita ĝardeno || 가지지 & yoonsu || 25 || 17.94 || 14.14 || 57.08 || || |
|
463 | || 5위 || Patriice (Remixed by celesti whispers) || [[Rhythm Doctor/스토리 모드#5-2|Lo-fi Beats For Patients To Chill To]] || oSKYo || 28.75 || 16.19 || 2.57 || 47.51 || || |
|
464 | ||<|5><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게임플레이(저렙)상'''[br]'''(Healing Award)''' || 1위 || [[바이터(인터넷 방송인)|프리터]] || [[프리터 댄스]] (ft.[[여르미]]) || TNS || 50 || 26.69 || 15 || 91.69 || || |
|
465 | || 2위 || [[히라타 키요히코|seatrus]] || 白線を渡って || hotduck & B.Sanmul + NumbEr07 || 43.75 || 25.5 || 8.85 || 78.10 || || |
|
466 | || 3위 || [[Frums]] || 24eeev0-$ || hotduck & COMMON || 42.5 || 26.69 || 7.69 || 76.88 || || |
|
467 | || 4위 || [[ああああ(작곡가)|ああああ]] || ゆめのつづき [Long ver.] || Team Vega || 38.75 || 24.5 || 13.08 || 76.33 || || |
|
468 | || 5위 || Vybbles (KAERRA) || Five Forgotten Stars[* [[Quree]]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s-3.1|One Forgotten Night]]를 리믹스한 곡이다.] || Vybbles + kernby || 35 || 29.31 || 5.38 || 69.70 || || |
|
469 | ||<|6><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게임플레이(고렙)상'''[br]'''(Gameplay (Tech/High) Award)''' || --1위--[br]LOTY || [[KOTDARI]] & [[RoDy.cOde]] & Spehs || [[Pure Black]] || AWC Chart Team 《Colourless》 || 41.67 || 30.63 || 13.67 || 85.96 || [* 원래 게임플레이(고렙)상 1위였으나 LOTY상을 받게 되면서 해당 상을 2위에게 양보하게 됐다.] || |
|
470 | || 1위 || [[히라타 키요히코|seatrus]] || am || 연석이2 || 41.67 || 31.5 || 6.33 || 79.50 || || |
|
471 | || 2위 || [[Sydosys]] || [[ADOFAI World Championship 2024#s-9.3|Serrate]] || AWC Chart Team 《Spectroscopes》 || 30 || 28 || 5.33 || 63.33 || || |
|
472 | || 3위 || [[MEMODEMO]] || Fuzzy || tBAN & Speaker (feat. Pharah) || 35 || 22.75 || 5.33 || 63.08 || || |
|
473 | || 4위 || [[かめりあ|かめりあ (Camellia)]] || This Future (we didn't expect) || Shopping & hotduck & Editor AlriC || 35 || 24.5 || 2.33 || 61.83 || || |
|
474 | || 5위 || AWC Sound Team || [[LΛ8YRИTH]] || AWC Chart Team 《Colorful》 || 25 || 22.75 || 7 || 54.75 || || |
|
475 | ||<|5><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올해의 레벨상'''[br]'''(LOTY)''' || 1위 || [[KOTDARI]] & [[RoDy.cOde]] & Spehs || [[Pure Black]] || AWC Chart Team 《Colourless》 || 40 || 28 || 6.5 || 74.50 || || |
|
476 | || 2위 || [[Cansol]] || A school of fish || Wheel & Bingsu (feat. Yoon) || 42.5 || 21.7 || 6.5 || 70.70 || || |
|
477 | || 3위 || [[Silentroom]] || [[驟雨の狭間|驟雨の狭間 (Rainshower)]] || 연석이2 & SomSom (feat. PillyXD, 오이) || 38.75 || 29.17 || 2 || 69.92 || || |
|
478 | || 4위 || [[바이터(인터넷 방송인)|프리터]] || [[프리터 댄스]] (ft.[[여르미]]) || TNS || 47.5 || 20.3 || 1.5 || 69.30 || || |
|
479 | || 5위 || [[かめりあ|かめりあ (Camellia)]] || Heart of Android : Even If It's Only By Mechanism || SaJabe & Bingsu || 40 || 26.26 || 2 || 68.25 || || |
|
480 | ||<-10><bgcolor=#FA5E26,#FA5E26><color=#FDFF3C,#3A0407> '''개발자'''[* [[7th Beat Games]] 소속 얼불춤 개발자.]'''의 베스트 픽'''[* LOTY 2021 이후 3년만에 부활하였다.] || |
|
481 | || '''선택한 개발자''' ||<-2> '''작곡가''' ||<-2> '''제목''' ||<-4> '''레벨 제작자''' || '''비고''' || |
|
482 | ||<|2> '''fizzd''' ||<-2> [[siqlo]] ||<-2> [[One Way Street#s-4|One Way Street ("Endless" Long Ver.)]] ||<-4> 연석이2 & Editor AlriC (feat. Pharah, ChyaRyam) || || |
|
483 | ||<-2> Ignis Glacies ||<-2> aequus libra ||<-4> Team 10th (Low) || [* 얼불춤 10주년을 기념해서 만들어진 맵이며, 곡도 10주년을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 |
|
484 | ||<|2> '''CrackThrough''' ||<-2> [[히라타 키요히코|seatrus]] ||<-2> 白線を渡って ||<-4> hotduck & B.Sanmul + NumbEr07 || || |
|
485 | ||<-2> [[Cansol]] ||<-2> A school of fish ||<-4> Wheel & Bingsu (feat. Yoon) || || |
|
486 | ||<|2> '''[[정현수(게임 개발자)|hyonsu]]''' ||<-2> katagiri ||<-2> tachypsychia ||<-4> oSKYo || || |
|
487 | ||<-2> [[히라타 키요히코|seatrus]] ||<-2> am ||<-4> 연석이2 || || |
|
488 | ||<|2> '''auth''' ||<-2> [[linear ring]] ||<-2> waitingforyou ||<-4> Wheel & Bingsu (feat. ChyaRyam) || || |
|
489 | ||<-2> [[Silentroom]] ||<-2> [[驟雨の狭間|驟雨の狭間 (Rainshower)]] ||<-4> 연석이2 & SomSom (feat. PillyXD, 오이) || || |
|
490 | ||<|2> '''paring''' ||<-2> [[히라타 키요히코|seatrus]] ||<-2> 白線を渡って ||<-4> hotduck & B.Sanmul + NumbEr07 || || |
|
491 | ||<-2> [[siqlo]] ||<-2> [[One Way Street#s-4|One Way Street ("Endless" Long Ver.)]] ||<-4> 연석이2 & Editor AlriC (feat. Pharah, ChyaRyam) || || |
|
492 | }}} |
|
493 | ||
494 | === 배속 도전 === |
|
495 | 6번째 세계까지 클리어할 경우 세계마다 배속 도전 모드가 추가된다. 1.1배속으로 시작하며,[* 단, 배속 목표가 1.0배, 0.9배인 보스 레벨들은 해당하는 배속으로 시작한다.] 일시정지 화면에서 속도를 마음대로 바꿀 수 있다. 최소치는 0.5배속으로 제한되어 있고 최대치는 2^128[* 일반적인 수치로 나타내면 340282366920938463463374607431768211456배속이다.]배속이다. |
|
496 | ||
497 | 세계마다 목표 속도가 주어져 있는데, 그 속도 이상으로 클리어 하면 도전과제를 달성할 수 있다. 배속은 레벨의 BPM과 난이도에 따라 결정되며, 1~5번째세계는 1.5배, 6번째 세계는 1.1배, 7~9번째 세계는 1.3배, 10~12번째 세계는 1.2배가 목표로 설정되어 있다. 일반적인 엑스트라 레벨들은 난이도에 따라 1.1배~1.3배 범위 내에서 결정된다. 보너스 세계는 배속 도전이 없고, 엑스트라 레벨 중에서도 보스곡에 해당하는 왕관 섬 레벨들과 그에 준하는 MO-X, T5-X, T3-EX는 0.9배 혹은 1.0배로 배정되어[* XO-X, MO-X, T5-X, T3-EX는 1.0배, XT-X와 XI-X는 0.9배.]사실상 노 체크포인트 챌린지로 기능한다. 얼핏 보기엔 쉬울 것 같지만 애초에 원래 레벨 자체가 까다롭고, 체크포인트에 의존해 클리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타 레벨의 배속 도전보다 더더욱 어렵다.[* 특히 '''약 6분'''이라는 압도적인 러닝타임으로 찍어누르는 레벨인 T3-EX가 이에 큰 영향이 간다.] |
|
498 | ||
499 | 모바일 버전의 경우 약 7.0~11.0배까지 올리면 미친듯이 연타만 해도 과부하가 뜨지 않고 클리어가 가능하다. 이는 PC와는 달리, 모바일에서는 배속이 판정 범위에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이다. |
|
500 | 배속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약 200만이 최대이다. [[https://youtu.be/YIiZCxYKY3s|30001배속]], [[https://www.youtube.com/watch?v=vQIOpTBY5LU|18만배속]], [[https://youtu.be/3skOqfqqDyg|20만배속]]까지 올린 유저가 있었으나, 최고기록은 [[https://youtu.be/6_nDtItH5hg|2097152배속]][* 2097152배속에서 버튼을 더 눌러도 올라가지 않는다.]이다. 부동 소숫점 한계로 인하여 배속에 0.1을 더해도 같은 숫자로 인식되는 듯 하다. 실제 최대치는 약 340간이며, 다만 직접 배속 버튼을 눌러서 접근이 불가능할 뿐이다. 숫자가 너무 높으면 배속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기도 한다. |
|
501 | ||
502 | === [[/DLC|DLC]] === |
|
503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DLC)] |
|
504 | ||
505 | ===# 도전 과제 #=== |
|
506 | ||<-4><table bordercolor=#2b2840,#2b2840><bgcolor=#2b2840,#2b2840><tablewidth=100%> [[A Dance of Fire and Ice|{{{#!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 Dance of}}}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ef5536; color:#ef5536">Fire}}}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and}}}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4e8bd6; color:#4e8bd6">Ice}}}]] {{{#fff 도전과제}}} || |
|
507 | ||<rowbgcolor=#ddd,#222><width=5%> '''아이콘''' ||<width=25%> '''이름''' || '''내용''' ||<width=20%> '''달성률'''[* 2023년 8월 21일 기준.] || |
|
508 | ||<colbgcolor=#000> [[파일:ADOFAI - 1번째 세계 완료.jpg]] || '''1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1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번째 세계: 하나의 버튼으로 움직이는 세계|1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0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80.2%, #F5F5F500 80.2%)" |
|
510 | {{{#000,#fff '''80.2'''%}}}}}} || |
|
511 | || [[파일:ADOFAI - 2번째 세계 완료.jpg]] || '''2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2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2번째 세계: 위쪽과 아래쪽은 항상 엇박|2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1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76.7%, #F5F5F500 76.7%)" |
|
513 | {{{#000,#fff '''76.7'''%}}}}}} || |
|
514 | || [[파일:ADOFAI - 3번째 세계 완료.jpg]] || '''3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3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3번째 세계: 유턴과 구불거리는 길|3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1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64.1%, #F5F5F500 64.1%)" |
|
516 | {{{#000,#fff '''64.1'''%}}}}}} || |
|
517 | || [[파일:ADOFAI - 4번째 세계 완료.jpg]] || '''4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4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4번째 세계: 삼각형과 셋잇단|4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1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69.9%, #F5F5F500 69.9%)" |
|
519 | {{{#000,#fff '''69.9'''%}}}}}} || |
|
520 | || [[파일:ADOFAI - 5번째 세계 완료.jpg]] || '''5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5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5번째 세계: 경사진 길|5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2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61.6%, #F5F5F500 61.6%)" |
|
522 | {{{#000,#fff '''61.6'''%}}}}}} || |
|
523 | || [[파일:ADOFAI - 6번째 세계 완료.jpg]] || '''6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6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6번째 세계: 마지막 도전|6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2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4.1%, #F5F5F500 34.1%)" |
|
525 | {{{#000,#fff '''34.1'''%}}}}}} || |
|
526 | || [[파일:ADOFAI - 1번째 세계 퍼펙트.jpg]] || '''1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1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번째 세계: 하나의 버튼으로 움직이는 세계|1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2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49.5%, #F5F5F500 49.5%)" |
|
528 | {{{#000,#fff '''49.5'''%}}}}}} || |
|
529 | || [[파일:ADOFAI - 2번째 세계 퍼펙트.jpg]] || '''2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2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2번째 세계: 위쪽과 아래쪽은 항상 엇박|2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3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5.8%, #F5F5F500 35.8%)" |
|
531 | {{{#000,#fff '''35.8'''%}}}}}} || |
|
532 | || [[파일:ADOFAI - 3번째 세계 퍼펙트.jpg]] || '''3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3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3번째 세계: 유턴과 구불거리는 길|3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3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3%, #F5F5F500 33%)" |
|
534 | {{{#000,#fff '''33.0'''%}}}}}} || |
|
535 | || [[파일:ADOFAI - 4번째 세계 퍼펙트.jpg]] || '''4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4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4번째 세계: 삼각형과 셋잇단|4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3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46.5%, #F5F5F500 46.5%)" |
|
537 | {{{#000,#fff '''46.5'''%}}}}}} || |
|
538 | || [[파일:ADOFAI - 5번째 세계 퍼펙트.jpg]] || '''5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5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5번째 세계: 경사진 길|5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3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9.4%, #F5F5F500 29.4%)" |
|
540 | {{{#000,#fff '''29.4'''%}}}}}} || |
|
541 | || [[파일:ADOFAI - 6번째 세계 퍼펙트.jpg]] || '''6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6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6번째 세계: 마지막 도전|6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4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7.6%, #F5F5F500 27.6%)" |
|
543 | {{{#000,#fff '''27.6'''%}}}}}} || |
|
544 | || [[파일:ADOFAI - 1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1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1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번째 세계: 하나의 버튼으로 움직이는 세계|1-X]]를 1.5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4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6%, #F5F5F500 16%)" |
|
546 | {{{#000,#fff '''16.0'''%}}}}}} || |
|
547 | || [[파일:ADOFAI - 2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2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2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2번째 세계: 위쪽과 아래쪽은 항상 엇박|2-X]]를 1.5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4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3.5%, #F5F5F500 13.5%)" |
|
549 | {{{#000,#fff '''13.5'''%}}}}}} || |
|
550 | || [[파일:ADOFAI - 3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3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3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3번째 세계: 유턴과 구불거리는 길|3-X]]를 1.5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5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0.4%, #F5F5F500 10.4%)" |
|
552 | {{{#000,#fff '''10.4'''%}}}}}} || |
|
553 | || [[파일:ADOFAI - 4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4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4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4번째 세계: 삼각형과 셋잇단|4-X]]를 1.5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5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3.1%, #F5F5F500 13.1%)" |
|
555 | {{{#000,#fff '''13.1'''%}}}}}} || |
|
556 | || [[파일:ADOFAI - 5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5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5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5번째 세계: 경사진 길|5-X]]를 1.5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5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0%, #F5F5F500 10%)" |
|
558 | {{{#000,#fff '''10.0'''%}}}}}} || |
|
559 | || [[파일:ADOFAI - 6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6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6 Speed Trial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6번째 세계: 마지막 도전|6-X]]를 1.1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56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0.8%, #F5F5F500 10.8%)" |
|
561 | {{{#000,#fff '''10.8'''%}}}}}} || |
|
562 | || [[파일:ADOFAI - 보너스 레벨 완료.jpg]] ||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B번째 세계: 보너스|보너스 레벨]] 완료'''[br]{{{-3 Bonus Level Complete}}} ||제 게임을 플레이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56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5.1%, #F5F5F500 5.1%)" |
|
564 | {{{#000,#fff '''5.1'''%}}}}}} || |
|
565 | || [[파일:ADOFAI - 게임 100% 완료.jpg]] || '''게임 100% 완료[*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세트 1|세트 1]](1~6, B번째 세계) 클리어 시 해금된다.]'''[br]{{{-3 Game 100% Complete}}} ||축하합니다! |
|
56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4.6%, #F5F5F500 4.6%)" |
|
567 | {{{#000,#fff '''4.6'''%}}}}}} || |
|
568 | || [[파일:ADOFAI - 7번째 세계 완료.jpg]] || '''7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7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7번째 세계: 소용돌이와 사각형|7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6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7.7%, #F5F5F500 27.7%)" |
|
570 | {{{#000,#fff '''27.7'''%}}}}}} || |
|
571 | || [[파일:ADOFAI - 8번째 세계 완료.jpg]] || '''8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8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8번째 세계: 육각형|8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7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9.4%, #F5F5F500 19.4%)" |
|
573 | {{{#000,#fff '''19.4'''%}}}}}} || |
|
574 | || [[파일:ADOFAI - 9번째 세계 완료.jpg]] || '''9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9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9번째 세계: 대각선 위의 네모 고리|9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7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2.6%, #F5F5F500 22.6%)" |
|
576 | {{{#000,#fff '''22.6'''%}}}}}} || |
|
577 | || [[파일:ADOFAI - 10번째 세계 완료.jpg]] || '''10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10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0번째 세계: 팔각형 스윙|10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7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5.8%, #F5F5F500 15.8%)" |
|
579 | {{{#000,#fff '''15.8'''%}}}}}} || |
|
580 | || [[파일:ADOFAI - 11번째 세계 완료.jpg]] || '''11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11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1번째 세계: 빠른 속도, 그리고 수많은 다각형|11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8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4.9%, #F5F5F500 14.9%)" |
|
582 | {{{#000,#fff '''14.9'''%}}}}}} || |
|
583 | || [[파일:ADOFAI - 12번째 세계 완료.jpg]] || '''12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12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2번째 세계: 직각 삼각형|12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58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2.5%, #F5F5F500 12.5%)" |
|
585 | {{{#000,#fff '''12.5'''%}}}}}} || |
|
586 | || [[파일:ADOFAI - 7번째 세계 퍼펙트.jpg]] || '''7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7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7번째 세계: 소용돌이와 사각형|7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8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3.6%, #F5F5F500 13.6%)" |
|
588 | {{{#000,#fff '''13.6'''%}}}}}} || |
|
589 | || [[파일:ADOFAI - 8번째 세계 퍼펙트.jpg]] || '''8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8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8번째 세계: 육각형|8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9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3.8%, #F5F5F500 13.8%)" |
|
591 | {{{#000,#fff '''13.8'''%}}}}}} || |
|
592 | || [[파일:ADOFAI - 9번째 세계 퍼펙트.jpg]] || '''9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9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9번째 세계: 대각선 위의 네모 고리|9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9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6.5%, #F5F5F500 16.5%)" |
|
594 | {{{#000,#fff '''16.5'''%}}}}}} || |
|
595 | || [[파일:ADOFAI - 10번째 세계 퍼펙트.jpg]] || '''10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10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0번째 세계: 팔각형 스윙|10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9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0.7%, #F5F5F500 10.7%)" |
|
597 | {{{#000,#fff '''10.7'''%}}}}}} || |
|
598 | || [[파일:ADOFAI - 11번째 세계 퍼펙트.jpg]] || '''11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11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1번째 세계: 빠른 속도, 그리고 수많은 다각형|11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59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2.5%, #F5F5F500 12.5%)" |
|
600 | {{{#000,#fff '''12.5'''%}}}}}} || |
|
601 | || [[파일:ADOFAI - 12번째 세계 퍼펙트.jpg]] || '''12번째 세계 퍼펙트'''[br]{{{-3 World 12 Perfect}}}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2번째 세계: 직각 삼각형|12번째 세계]]에서 정확도 100% 이상을 기록하세요 |
|
60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8.6%, #F5F5F500 8.6%)" |
|
603 | {{{#000,#fff '''8.6'''%}}}}}} || |
|
604 | || [[파일:ADOFAI - 7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7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7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7번째 세계: 소용돌이와 사각형|7-X]]를 1.3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0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5.6%, #F5F5F500 5.6%)" |
|
606 | {{{#000,#fff '''5.6'''%}}}}}} || |
|
607 | || [[파일:ADOFAI - 8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8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8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8번째 세계: 육각형|8-X]]를 1.3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0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8%, #F5F5F500 3.8%)" |
|
609 | {{{#000,#fff '''3.8'''%}}}}}} || |
|
610 | || [[파일:ADOFAI - 9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9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9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9번째 세계: 대각선 위의 네모 고리|9-X]]를 1.3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11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5%, #F5F5F500 5%)" |
|
612 | {{{#000,#fff '''5.0'''%}}}}}} || |
|
613 | || [[파일:ADOFAI - 10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10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10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0번째 세계: 팔각형 스윙|10-X]]를 1.2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14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9%, #F5F5F500 3.9%)" |
|
615 | {{{#000,#fff '''3.9'''%}}}}}} || |
|
616 | || [[파일:ADOFAI - 11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11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11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1번째 세계: 빠른 속도, 그리고 수많은 다각형|11-X]]를 1.2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17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6%, #F5F5F500 3.6%)" |
|
618 | {{{#000,#fff '''3.6'''%}}}}}} || |
|
619 | || [[파일:ADOFAI - 12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jpg]] || '''12번째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World 12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12번째 세계: 직각 삼각형|12-X]]를 1.2배속으로 완료하세요 |
|
620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4.1%, #F5F5F500 4.1%)" |
|
621 | {{{#000,#fff '''4.1'''%}}}}}} || |
|
622 | || [[파일:ADOFAI - Xtra Worlds Complete.jpg|height=64]] || '''엑스트라 세계 완료'''[br]{{{-3 Xtra Worlds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 섬: 엑스트라!|엑스트라 섬]]의 모든 세계들을 완료하세요 |
|
62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1%, #F5F5F500 2.1%)" |
|
624 | {{{#000,#fff '''2.1'''%}}}}}} || |
|
625 | || [[파일:ADOFAI - Xtra Worlds Speed Trial.jpg|height=64]] || '''엑스트라 세계 배속 도전 완료'''[br]{{{-3 Xtra Worlds Speed Trial}}}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 섬: 엑스트라!|엑스트라 섬]]의 모든 세계들을 배속 도전으로 완료하세요[*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XF번째 세계|XF-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PA번째 세계: Project Arrhythmia와의 컬래버레이션!|PA-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XR번째 세계|XR-X]] 1.3배,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XC번째 세계|XC-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XH번째 세계|XH-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RJ번째 세계: 리듬 저니와의 컬래버레이션!|RJ-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XN번째 세계|XN-X]] 1.2배] |
|
62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0.8%, #F5F5F500 0.8%)" |
|
627 | {{{#000,#fff '''0.8'''%}}}}}} || |
|
628 | || [[파일:ADOFAI - Muse Dash Worlds Complete.jpg|height=64]] || '''[[Muse Dash]] 세계 완료'''[br]{{{-3 Muse Dash Worlds Complet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별 섬: Muse Dash와의 컬래버레이션!|Muse Dash 섬]]의 모든 세계들을 완료하세요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MO번째 세계|EMOMOMO]] 제외) |
|
62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4.2%, #F5F5F500 4.2%)" |
|
630 | {{{#000,#fff '''4.2'''%}}}}}} || |
|
631 | ||
632 | ||<-4><table bordercolor=#2b2840,#2b2840><table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E4860, #4F8BBD)" |
|
633 |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12C1D; color:#F12C1D">Neo}}}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089FF6; color:#089FF6">Cosmos}}} {{{#!html <span style="text-shadow: 0 0 6px #ffffff; color:#ffffff">DLC}}}]] {{{#fff 도전과제}}}}}} || |
|
634 | ||<rowbgcolor=#ddd,#222><width=5%> '''아이콘''' ||<width=25%> '''이름''' || '''내용''' ||<width=20%> '''달성률''' || |
|
635 | ||<colbgcolor=#000> [[파일:ADOFAI - T1번째 세계 완료.jpg|height=64]] || '''T1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T1 Complete}}} ||Neo Cosmos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T1번째 세계: Neo Cosmos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T1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36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1%, #F5F5F500 3.1%)" |
|
637 | {{{#000,#fff '''3.1'''%}}}}}} || |
|
638 | || [[파일:ADOFAI - T2번째 세계 완료.jpg|height=64]] || '''T2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T2 Complete}}} ||Neo Cosmos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T2번째 세계: 모두 통틀어 가장 중요한 잡무|T2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39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3%, #F5F5F500 3%)" |
|
640 | {{{#000,#fff '''3.0'''%}}}}}} || |
|
641 | || [[파일:ADOFAI - T3번째 세계 완료.jpg|height=64]] || '''T3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T3 Complete}}} ||Neo Cosmos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T3번째 세계: 진짜 힌트 없음!!|T3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4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7%, #F5F5F500 2.7%)" |
|
643 | {{{#000,#fff '''2.7'''%}}}}}} || |
|
644 | || [[파일:ADOFAI - T4번째 세계 완료.jpg|height=64]] || '''T4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T4 Complete}}} ||Neo Cosmos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T4번째 세계: 세 개의 행성을 소개합니다|T4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45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4%, #F5F5F500 2.4%)" |
|
646 | {{{#000,#fff '''2.4'''%}}}}}} || |
|
647 | || [[파일:ADOFAI - T5번째 세계 완료.jpg|height=64]] || '''T5번째 세계 완료'''[br]{{{-3 World T5 Complete}}} ||Neo Cosmos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T5번째 세계: 감독관의 도전|T5번째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48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2.2%, #F5F5F500 2.2%)" |
|
649 | {{{#000,#fff '''2.2'''%}}}}}} || |
|
650 | || [[파일:ADOFAI - EX 세계 완료.jpg|height=64]] || '''EX 세계 완료'''[br]{{{-3 EX Worlds Complete |
|
651 | }}} ||Neo Cosmos 모든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Neo Cosmos#EX 버전|EX 세계]]를 완료하세요 |
|
652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66C0F4 1%, #F5F5F500 1%)" |
|
653 | {{{#000,#fff '''1.0'''%}}}}}} || |
|
654 | ||
655 | ===# 비밀 코드 #=== |
|
656 | PC 버전의 게임 화면(레벨 에디터 제외)에서 특정 키를 순서대로 누르는 것으로 특정한 기능을 활성화하거나 공의 색상을 특수하게 바꾸는 기능이 있다. 이는 모바일에서도 키보드를 연결하거나 가상 키보드[* 스토어에서 쉽게 찾을 수 있고 윈도우 검색창에 '화상 키보드'라 검색하면 나온다.]로 입력이 가능하다. 현재 확인된 코드는 다음과 같다. |
|
657 | ||
658 | || TRANSRIGHTS || 공을 밝은 파란색과 분홍색으로 변경한다. 상징은 [[트랜스젠더]]. || |
|
659 | || NBRIGHTS || 공을 보라색과 노란색으로 변경한다. 상징은 [[논바이너리]]. || |
|
660 | || IMACHEATER || 1.10.6 버전에 추가된 왕관섬으로 이동하는 코드다.[br]B번째 세계 클리어 여부와 상관 없이 작동되며, 이를 이용해서 B번째 세계를 클리어하지 않고 왕관섬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다.[br]코드가 IMACHEATER인 이유도 이 때문인 듯 하다. |
|
661 | 모바일 버전에서는 작동하지 않는다. || |
|
662 | || [[Quree|QUREE]][*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s-3.2.1|XO번째 세계]]의 작곡가] || 왕관 섬의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s-3.2.1|XO번째 세계]]로 아무 전제 조건 없이 이동된다. IMACHEATER와 마찬가지로 B번째 세계의 클리어 여부 혹은 XO번째 세계의 클리어 여부는 중요하지 않다. 클리어하거나 중지하고 나가면 B번재 세계의 클리어 여부와 관계없이 왕관섬으로 이동된다. || |
|
663 | || STAR4TH[*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s-3.2.1|XO번째 세계]]의 레벨 제작자] || 상술된 QUREE와 같은 역할을 하나, '''배속 도전 모드'''로 이동된다 || |
|
664 | || [[코나미 커맨드]][* ↑ ↑ ↓ ↓ ← → ← → B A] + Enter || 두 행성을 무지개색으로 변경한다. 다시 입력해도 원래대로 돌아가지는 않고, 하단 색변경에서 변경해야한다.[br]기기의 사양에 따라서 렉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 적절하게 사용하자.[br]모바일에선 색상 변경 창에서 한 행성을 들고 색을 계속 연속해서 바꾸다보면 무지개색이 된다.[* 색 변경창에서 행성을 빙빙 돌리면 쉽다.] || |
|
665 | || Ctrl(⌘) + Shift + D || 1.11.0 버전에 추가된 데스 사운드를 끄고 킬 수 있다.[br] 끄고 킬 땐 오토의 Off/On 사운드가 들린다. || |
|
666 | || KABOOM || [[지뢰 찾기]] 미니게임을 플레이 할 수 있다. 배경 음악 작곡은 DM DOKURO.[br]Neo Cosmos DLC가 적용 된 상태에서만 작동된다.[br]모바일 버전에서는 퍼즐 방 화면에 보이는 지뢰 네 개를 터치하여 터뜨리면 진입할 수 있다.[* 여담으로 첫 번째에는 소형, 두 번째에는 중형 난이도 지뢰찾기가 진행되고, 중형까지 깨면 초대형 판이 나오는데 한 블록을 깨뜨리면 지뢰와 숫자가 나오는 게 아닌 '''{{{#c19f48 GOOD}}} {{{#158daa JOB!!}}}'''이라는 글자가 나온다.] || |
|
667 | || SAMURAI || 공의 모양을 [[리듬 닥터]]의 사무라이로 변경한다. 다시 한 번 입력하면 원래대로 돌아온다.[br]여담으로 리듬 닥터에도 자판으로 Samurai.를 입력[* 단, S는 Shift를 누른 상태로 입력해야 한다.]하면 게임의 거의 모든 텍스트가 Samurai.로 대체되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 |
|
668 | || THONK || 이모지 행성을 껐다 켰다 할 수 있다. || |
|
669 | || APRILFOOLS || 만우절 특별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 |
|
670 | || ASYNCINPUTDEBUG || 비동기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 |
|
671 | || BYEHUD || 게임 내 HUD(빌드 표시 텍스트 등)를 활성화/비활성화한다. || |
|
672 | || FIRESTI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XI번째|XI-X]], [[A Dance of Fire and Ice/세계/엑스트라#XS번째|XS-X]]의 시각 효과를 담당한 [[7th Beat Games]] 직원이자 2025년 [[만우절]]에 이벤트로 공식 게임에 추가되었던 뭔가 요상한 ADOFAI 레벨 팩 제작자.] || 2025년 [[만우절]] 이벤트인 뭔가 요상한 ADOFAI로 이동된다[* 기존 이벤트가 끝난 2025년 4월 10일 이후에도 입장 가능하다.]. || |
|
673 | ||
674 | == 모바일 버전 == |
|
675 | >A Dance '''O'''f Fire and Ice[* of의 o가 소문자면 스팀 버전, 대문자면 모바일 버전이다. 유튜브에선 이 사소한 차이를 반영해서 두 버전을 다른 게임으로 취급한다.] |
|
676 | 원 키 리듬게임답게 모바일에서도 구현되었다. 과거에는 배경이 데모버전같이 단순하게 구현되어 있었지만 5월1일 업데이트 이후로 PC/Mac버전과 동일하게 배경[* The Midnight Train의 배경에 있는 기차 등]이 적용되도록 업데이트되었다. |
|
677 | ||
678 | 또한, PC 버전처럼 스테이지를 박자에 맞추어 직접 이동해서 선택하는 방법이 아닌, 화면 양옆의 화살표를 눌러 스테이지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박자에 맞춰 누를 때마다 핸드폰이 약하게 진동하는데[* 옵션에서 비활성화할 수 있다.] 이게 플레이할 때 도움이 꽤 된다. 모바일 버전이 PC버전보다 3배는 더 싸기 때문에 위의 비교점을 고려해서 취향껏 사자. 다만 안드로이드 버전은 최적화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평이 많다.[* 퀄컴 스냅드래곤 845 기종은 8 스테이지와 11 스테이지에서 프레임이 뚝뚝 떨어진다. 특히 1월 30일 자 1.6.0 업데이트 이후로.][* 5월1일 업데이트 이후로 특정 스테이지를 넘어갈 때 과도하게 오랜 로딩시간이 소요되는 현상이 간혹 보인다. 이 현상은 검은 화면으로 나타나는 로딩 화면 때 터치하면 검은 화면이 지속되는 식인지라 검은 화면에서 얌전히 기다리면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pc 기준의 사양을 모바일에 그대로 대입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모바일에는 PC에서도 보편화되지 않은 [[HD|QHD]] 해상도가 보편화되어 게임 렉에 있어서는 더 심각하다. 게임 설정에서 해상도를 50% 정도로 낮춤으로써 해결이 가능하지만, 저장되는 설정은 아니기에 게임을 껐다 켤 때마다 낮춰서 플레이해야 한다는 건 단점.] |
|
679 | ||
680 | 또한, PC에 비해 판정이 '''매우 널널한 편이다.''' |
|
681 | 행성의 각도로 판정을 내는 PC와는 달리, 모바일은 시간 단위로 판정을 내기 때문. 그래서 속도가 느리면 판정이 비슷하지만 채보 치는 속도가 빨라질수록 난이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는 PC와 달리 모바일은 난이도 상승이 크지 않다. 즉, 어렵고 빠른 레벨일수록 PC와 모바일 간의 격차가 크다. |
|
682 | ||
683 | [[파일:얼불춤 모바일 1-X 마지막.jpg]] |
|
684 | 모바일 버전에서는 1-X 스테이지의 마지막 장면의 석상이 꽃이 피어있는 여성형의 석상으로 바뀌었으며, 이후 PC/Mac버전에서도 동일하게 변경되었다. 뿐만 아니라 다른 몇몇 스테이지의 일러스트 또한 작은 변화가 생겼다. |
|
685 | ||
686 | 2019년 4월 22일 iOS 앱스토어 출시. [[https://itunes.apple.com/kr/app/a-dance-of-fire-and-ice/id1456547302?mt=8|#]] |
|
687 | ||
688 | 모바일에 상세 사항이 생겼다. 입력에 대한 상세 정보가 들어있다. 이제는 블루투스를 이용해 재생 장치를 연결해서 플레이할 경우 기기별로 수치가 달라진다.[* 즉, 저가형 이어폰에서는 보정 수치를 높히고, 고가 이어폰은 보정 수치를 낮게 할 수 있다.] |
|
689 | [[파일:모바일 보정 상세.png]] |
|
690 | ||
691 | 2024년 8월 업데이트로 키보드를 완벽하게 지원한다. 기존에도 키보드로 플레이를 할 수는 있었으나, 어디까지나 반쪽짜리 지원이어서 레벨 입장이나 일시정지 등등 다양한 동작이 키보드만으로 불가능했었다. 현재는 모든 동작을 키보드만으로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
|
692 | ||
693 | == 비공식 포럼 == |
|
694 | A Dance of Fire and Ice의 포럼은 난이도 책정을 중심으로, [[7th Beat Games]]에서 제공하지 않는 여러 기능들을 제공한다. |
|
695 | 공식 포럼은 없고 비공식 포럼만 있는 이유는, 원래는 공식 포럼[* 난이도 책정 용도]이 있었으나 방치된 이후 비공식적인 포럼들을 유저들이 만들었기 때문이다. --근데 정작 [[ADOFAI.gg|그 비공식 포럼]]마저도 방치되고 있다.-- |
|
696 | ||
697 | 비공식 포럼은 여러 개가 존재하는데, 대부분이 나무위키의 개별 문서 등재 기준을 만족하지 못한다. |
|
698 | ||
699 | === [[ADOFAI.gg]] === |
|
700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DOFAI.gg)] |
|
701 | A Dance of Fire and Ice를 더욱 체계적으로 다루는 비공식 커뮤니티로, 해당 게임의 유저들이 운영하고 있다. |
|
702 | 대표적으로는 난이도 책정과 대회 개최 등을 한다. |
|
703 | ||
704 | === [[The Universal Forums]] === |
|
705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The Universal Forums)] |
|
706 | ||
707 | == [[/문제점 및 사건 사고|문제점 및 사건 사고]] == |
|
708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문제점 및 사건 사고)] |
|
709 | ||
710 | == [[/업데이트 내역|업데이트 내역]] == |
|
711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A Dance of Fire and Ice/업데이트 내역)] |
|
712 | ||
713 | == 평가 == |
|
71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게임), date=2024-10-09, title=a-dance-of-fire-and-ice, critic=-, user=8.5)] |
|
715 | [include(틀:평가/Steam, date=2024-10-09, code=977950, rating=매우 긍정적, percent=94, count=63\,914, rating2=매우 긍정적, percent2=94, count2=786)] |
|
716 | [include(틀:평가/Google Play, date=2024-10-09, id=com.fizzd.connectedworlds, score=4.4, count=2.94만)] |
|
717 | [include(틀:평가/App Store, date=2024-10-09, title=a-dance-of-fire-and-ice, id=id1456547302, score=4.8, count=2.5만)] |
|
718 | ||
719 | == 여담 == |
|
720 | * [[닌텐도 DS]]로 발매된 [[리듬 세상]]의 엔드리스 게임 중에서도 리듬 무브라는 비슷한 게임이 있다. [[https://youtu.be/3QMER6SagTQ|플레이 영상]] |
|
721 | * [[파일:a_game_theory.png|width=300]] |
|
722 | ||
723 | ADOFAI 표지 일러스트가 [[태극기]]의 [[태극]] 무늬랑 비슷하다는 점을 제작자도 인지하고 있다. |
|
724 | ||
725 | * 붉은 구체와 푸른 구체를 조종해 협동하면서 한 무대를 넘기는 [[Duet(모바일 게임)|Duet]]이라는 컨셉이 비슷한 게임이 이전에 나온 적이있어 한번 더 화제가 되었다. |
|
726 | ||
727 | * 스팀판 기준 숫자키를 누르면 해당하는 세계로 이동한다. 1~6, B번째 세계는 단축키 1~7, 7~12번째 세계는 아래 열로 내려간 뒤 1~6, 시작 화면은 0 또는 ~키로 이동한다. |
|
728 | ||
729 | * 외주 아티스트의 곡을 사용한 레벨의 경우 옆에 [[SoundCloud|사운드 클라우드]] 로고를 클릭하면 작곡가의 프로필을 볼 수 있다. 모바일도 동일.[* 모바일에는 PA번째 세계에 포탈에 있는 [[Project Arrhythmia]] 로고를 누르면 PA의 스팀 페이지로 이동한다.] |
|
730 | ||
731 | * 행성의 색을 변경할 때,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색상 말고도 텍스트 에디터를 이용하여 게임 데이터를 수정하면 원하는 색깔로 바꿀 수 있다.[* 일반적으로 'Program Files(x86)\\Steam\\steamapps\\common\\A Dance of Fire and Ice\\User' 경로에 data.sav라는 유저 데이터 파일이 있으며, 여기서 'colorRed', 'colorBlue' 뒤에 오는 값을 수정하면 된다. 1.14.0 버전에 새로 추가된 이모지 행성의 경우 "faceRed": "True", "faceBlue": "True"를 추가해주면 EMOMOMO를 클리어하지 않아도 적용된다.] 보통 [[헥스 코드]]를 사용하나 특수한 색상의 경우 헥스 코드가 아닌 고유한 텍스트 값을 사용한다. RGBA를 지원하는지 뒤에 투명도 값을 넣으면 또한 적용된다. |
|
732 | || 행성 색 || 꼬리 색 || 코드 || |
|
733 | ||<-2> 황금색 || gold || |
|
734 | || 파스텔톤 분홍색 || 흰색 || transPink || |
|
735 | || 파스텔톤 하늘색 || 흰색 || transBlue || |
|
736 | || NB 노란색 || 흰색 || nbYellow || |
|
737 | || NB 보라색 || 검은색 || nbPurple || |
|
738 | ||<-2> 무지개 || rainbow || |
|
739 | ||<-2> 투명 || 00000000[* 맨 뒷자리가 00이 아니면 반투명이 된다.] || |
|
740 | || 네오 코스모스 파란색 || 흰색[* 네온 효과가 적용된 느낌이다.] || overseer || |
|
741 | ||<-2> Twemoji || true || |
|
742 | ||<-2> SAMURAI[* faceRed, faceBlue, 둘 중 하나에만 적용해도 두개 다 적용되는 모습을 보인다.] || true || |
|
743 | 특이하게도 한 행성만 색상을 무지개로 지정하는 경우, 커스텀 에디터에서 아래와 같은 버그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
|
744 | [[파일:adofai_bug.png|width=250]] |
|
745 | sepia, white 등 일부 텍스트는 사용은 가능하나 얼불춤을 들어가면 색상은 그대로이며, 다시 data.sav 파일에 들어가서 faceRed, faceBlue를 확인하면 "null" 로 표시된다. |
|
746 | ||
747 | * "불과 얼음의 춤은 엄격한 판정의 원버튼 리듬게임입니다."라는 얼불춤의 소개 문장이 얼불춤의 인기와 함께 유명해지면서, 얼불춤 관련 영상의 댓글에서 볼드체 부분을 약간씩 변형하는 기출변형 드립이 자주 보인다. 특히 얼불춤으로 얼불춤스럽지 않은 모습을 구현한 경우[* 예시로 얼불춤으로 노래를 만든 경우 불과 얼음의 춤은 다용도 '''작곡 프로그램'''이라고 한다. 얼불춤으로 노래를 만든다니 이게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냐고 할 수 있지만 [[https://youtu.be/qk7_s7Xj0LE|가능하다!]]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독창적인 기믹을 사용한 레벨이 나오면 '게임 제작 프로그램', 원곡의 BGA를 높은 퀄리티로 구현한 레벨이 나오면 '영상 편집 프로그램'이 되는 등, 여러 바리에이션이 있다.]나, 얼불춤 자체에서 '엄격한 판정의 원버튼 리듬게임'이라는 설명에 어긋난 모습이 나온 경우[* 예시로 '''20키'''를 사용한 막장 플레이 영상의 경우.] 자주 보인다. 혹은 얼불춤이 아닌 게임으로 얼불춤을 구현하거나 현실에서 얼불춤스러운 게 나오면 이런 드립이 나온다. |
|
748 | ||
749 | * 램 누수가 일부분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고 하며, 현재 해결하기 위한 업데이트를 진행중이다. 최근 거듭된 업데이트로 튕기는 일이 비교적 매우 적어졌다. 다만 아직도 램 누수 현상은 종종 발견된다. |
|
750 | ||
751 | * 레벨 에디터에서 ctrl+f를 누르면 타일 위에(모든 타일에 적용됨) 숫자가 뜨며 그 숫자는 그 타일이 몇번째 타일인지를 나타낸다. 다만 모든 타일에 글자를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에 타일이 많다면 글자 오브젝트가 너무 많아져서 렉이 걸릴 수 있으니 주의. |
|
752 | ||
753 | * 2020년 4월 1일 만우절 업데이트로 '''스테이지 선택 화면이 뒤집어졌다!''' 플레이 화면과 레벨 에디터는 그대로. 컴퓨터 시간이 4월 1일로 되어있으면 자동으로 적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매년 만우절마다 화면이 뒤집어진다. 2023년에는 뒤집어진 채로 공식 레벨을 비롯한 레벨을 플레이 할 수 있게되는 소용돌이 기능도 추가되었다. |
|
754 | [[파일:만소절.png|width=300]] |
|
755 | ||
756 | * [[osu!]]lazer에서 비슷하게 구현된 버전이 있다. [[https://youtu.be/qYxaI8SnNyA|#]] 하지만 이것은 엄연한 저작물침해로 7BG에서 직접적으로 경고했다.[* 쉽게 이해한다면 얼불춤의 크렉버전을 3$를 받고 팔았다][* [[https://www.youtube.com/post/UgkxYr3qi9UETu4qO0PivyeOKMpDpf3aTP4j|#]] ] |
|
757 | ||
758 | * 오토를 켜고 마우스로 쓰다듬으면 하트를 띄우면서 좋아해 한다. |
|
759 | ||
760 | * 최대 bpm이 300이 넘는경우 오토가 빨간색이 되면서 긴장한 표정이 된다. |
|
761 | ||
762 | * ctrl + shift + d 키를 25번 치면 [[빌헬름의 비명|비명소리]]가 나고 이 상태로 게임을 할 때 데스사운드가 해당 소리로 바뀐다. |
|
763 | ||
764 | * [[Steam]] 도전과제로 진행상황을 복구할 때 완료만 했다면 95%, 퍼펙트라면 100% + 10%로 복구된다. 하지만 (Neo Cosmos DLC 제외)공식 레벨 중에는 10%가 나올 수 있는 레벨이 없다. 또한 Steam 도전과제로 복구한다면 도전 과제가 없는 --엑스트라,--[* 업데이트로 도전 과제가 추가되었다.] MO-X[* 업데이트로 뮤즈 대쉬 섬의 도전 과제가 추가되었으나 어려운 난이도 때문인지 MO-X는 포함되지 않았다.], 왕관섬, 창작마당 레벨의 데이터는 모두 사라지니 신중히 결정하도록 하자. |
|
765 | ||
766 | * 다른 게임인 [[Geometry Dash]]와 공통점이 많은 게임이다. 대표적으로 한 번만 실수해도 죽는 플레이 방식과 자유도 높은 커스텀 레벨 에디터, 한국에서의 높은 인기 등이 있다. 다만 지오메트리 대시는 한국 한정으로 2010년대 후반쯤 여러 문제 때문에 인기가 떨어졌고[* [[2.2]] 업데이트 이후에는 크게 상승하였다], 마침 그 시기를 전후해서 정식 출시된 얼불춤으로 팬층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지오메트리 대시는 공식적으로 영어 이외의 언어를 지원하지 않아 외국 플레이어들의 영향력이 더 컸지만 얼불춤은 출시 때부터 한국어를 지원해서인지 스팀 창작마당에 올라온 커스텀 레벨의 대다수가 한국인 제작이다. |
|
767 | ||
768 | * 가장 어려운 게임[* 혹은 레벨]으로 Geometry Dash 과 비교되기도 한다. 하지만 두 게임은 난이도를 비교하기가 어렵다. 왜냐하면 얼불춤은 리듬게임인 반면 Geometry Dash는 '''리듬 기반''' 게임이며 Geometry Dash만 해도 게임 내에 모드만 9가지[* Cube, Ball, Ship, UFO, Wave, Robot, Spider, Swing, Jetpack]여서 비교하기가 어렵다. 다만 (전체 클리어자 수) ÷ (전체 플레이어)[* 혹은 평균 접족자수]로 대략적인 난이도는 비교가능하다.[* 다만 이러한 기준도 비교하기에는 제한적일수도 있다. 왜냐하면 Geometry Dash 내에 [[Tidal Wave|1위 레벨]]은 3명이 클리어한 반면 [[Nullscapes|2위]]와 [[BOOBAWAMBA|3위]] 레벨은 베리파이어(최초 클리어자)를 제외하고 전무하기 때문이다.] |
|
769 | ||
770 | * 과거 디버그 코드가 무분별하게 알려져 문제가 된 적 있다. EULA 상으로 디컴파일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공개되지 않은 컨텐츠를 공개하는 것이 금지되었기 때문에 자제하자. 호기심 등의 이유로 디버그 코드를 묻거나 알려주는 사람들 때문에 더욱더 무분별하게 알려졌다. 이후 공식 개발사 측에서는 디버그 모드를 악용하는 일이 발생하는 등을 막기 위해, 디버그 모드를 활성화하기 위해 알려지지 않은 조건을 거는 등의 잠수함 패치를 진행하였다. 약간의 리버싱을 해보면, '''[[Discord]] ID가 개발자와 같을 것''' 외 여러 가지 조건이 있는데, 일반 유저는 이제 코드를 알아도 건드릴 수 없게 잘 패치되었다. |
|
771 | ||
772 | * [[https://youtu.be/qBJy3I2BM4U?t=14|이 영상]]에서 알수있듯이 행성의 크기는 집 한채 정도의 크기라고 한다. |
|
773 | ||
774 | * 이 게임을 잘 모르는 사람들이 고인물의 영상을 보고 막 누르는거 아니냐는 말을 자주 하는걸 볼 수 있는데[* 그 뒤로 이어지는 얼불춤 유저들의 곡소리는 덤.], 과부하 판정때문에 이 말은 틀렸다. |
|
775 | ||
776 | * 무선 키보드를 이용한 플레이가 권장하지 않는 게임이다. 유선으로 연결된 키보드 같은 경우는 문제없지만, 무선 같은 경우는 USB 또는 블루투스 간의 지연시간(ms)로 인해 판정 범위 오차가 상당히 심해진다. |
|
777 | ||
778 | === 해석 및 2차 창작 === |
|
779 | '''현재 공식 디스코드 이외의 2차 창작이 저조한 관계로 디스코드 위주로 서술한다.''' |
|
780 | ||
781 | 명확한 스토리가 없어 팬픽션은 거의 찾아볼 수 없지만 해석 자체는 존재한다. |
|
782 | ||
783 | 가장 대중적인 해석은 12번째 세계에 나오는 염소가 흑막이라는 것. 염소가 CCTV를 통해 여태까지의 세계를 지켜보는 연출이 나오며, 정황상 염소 드론을 보낸 것도 TV를 지켜보는 그 염소이며, 이후 XI번째 세계에서 그의 작품으로 보이는 십이지 드론들과 보스전을 치르게 되기도 한다. 또 XH번째 세계에서는 염소 드론들이 검은 행성들을 호위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검은 행성들이 [[최종 보스]]이거나 염소가 만든 인공 행성이라는 추측이다. |
|
784 | ||
785 | 팬아트의 경우 게임 속 장면을 재해석한 일러스트가 자주 그려지며 게임 속 요소들의 의인화가 많다. |
|
786 | ||
787 | * 불의 행성 & 얼음의 행성 |
|
788 | 인간 또는 인간형 인외로 그려진다. 사람에 따라 자신만의 이름과 설정을 붙이기도 한다. 가끔씩 상술한 재해석 팬아트에 등장할 때도 있다. |
|
789 | ||
790 | * 오토(Otto)[* 자동을 의미하는 Auto의 말장난이다.] |
|
791 | 레벨 에디터에서 화면 오른쪽 아래에 나오는 토끼 모양 캐릭터. 클릭하면 자동 플레이를 켜고 끌 수 있다. 다양한 인간형 디자인으로 그려지며, 같은 제작사의 게임 Rhythm Doctor에 등장하는 다른 디자인의[* 색이 초록색이고 좀 더 각진 모습이다.] 오토와 자주 엮인다. |
|
792 | ||
793 | * 레벨 |
|
794 | 공식, 커스텀 상관없이 그려진다. 공식 레벨은 엑스트라, 커스텀 레벨은 유명하거나 컨셉 확실한 레벨 위주로 의인화된다. |
|
795 | ||
796 | 이외에도 같은 개발사의 게임인 [[Rhythm Doctor]]나 이전에 콜라보를 진행했던 [[Project Arrhythmia]]와의 크로스오버 팬아트가 가끔 나온다. [[Just Shapes & Beats]]와의 크로스오버도 가끔씩 나오는 편인데, 이는 PA가 JSAB와 플레이 방식이 흡사한 게임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PA도 JSAB와 자주 엮이는 편이다.] |
|
797 | ||
798 | Neo Cosmos DLC 출시 이후 신규 캐릭터들의 팬아트가 간간히 보이고 있다. |
|
799 | ||
800 | == 관련 문서 == |
|
801 | * [[ADOFAI.gg]] |
|
802 | * [[ADOFAI World Championship]] |
|
803 | * [[CameraㆍDecoㆍFilter]] |
|
804 | * [[불과 얼음의 춤 마이너 갤러리]] |
|
805 | * [[리듬 게임]] |
|
806 | * [[Rhythm Doctor]] |
|
807 | * [[Project Arrhythmia]] |
|
808 | * [[Muse Dash]] |